[세종로의 아침] ‘쪽잠운전’의 버스 안에서/손원천 문화부 선임기자

[세종로의 아침] ‘쪽잠운전’의 버스 안에서/손원천 문화부 선임기자

손원천 기자
손원천 기자
입력 2019-07-10 17:32
업데이트 2019-07-11 02:0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손원천 문화부 선임기자
손원천 문화부 선임기자
출퇴근 때 주로 광역버스를 이용한다. 흔히 ‘M버스’라고 불리는 차다. 매일같이 이용하다 보니 종종 황당한 경험도 한다. 어제 아침 출근길엔 이런 일도 겪었다.

버스가 제2자유로의 끝, 상습 차량 정체 지역에 들어섰다. 차들이 길게 꼬리를 물고 있다. 한데 정체 꼬리 부분이 점점 다가오는데도 어찌 된 일인지 운전기사가 속도를 줄이지 않았다. 기사의 얼굴을 흘낏 보니 꾸벅대며 조는 것 같지는 않다. 순간적으로 기사가 쪽잠을 자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졸음운전이야 살짝 졸다 눈을 뜬다지만, 수초 동안 꼼짝하지 않는다면 잠을 자는 것이나 진배없다.

사고가 임박해진 순간, 본능적으로 소리를 질러 기사를 깨웠다. 뭐라고 웅얼대며 ‘잠에서 깬’ 기사가 급히 핸들을 꺾었고, 정말 습자지 한 장 차이로 간신히 추돌을 면했다.

버스 앞은 이탈리아 M사의 최고급 승용차였다. 설령 트럼프 미 대통령이 타는 ‘비스트급’의 승용차였다 해도 수백t의 운동에너지를 가진 버스가 뒤에서 두드려 박았다면 종잇장처럼 구겨지고 말았을 터다. 바로 앞차뿐 아니다. 줄지어 선 승용차의 탑승자들이 크고 작은 부상을 입었을 것이고, 그 순간 여러 사람의 운명도 뒤바뀌었을 것이다. 앞차 운전자가 백미러로 이 상황을 지켜봤을 수도 있을 텐데, 자신의 목숨이 경각에 이른 순간 그는 어떤 생각이 들었을까. 차라리 안 봤으면 싶다.

놀란 아기가 빽빽대며 울고 선잠에서 깬 승객들이 난폭운전을 한 기사를 향해 눈에서 레이저를 발사하는 걸로 버스 안 상황은 종료됐다. 대부분의 승객들은 곧바로 휴대전화로 눈을 돌리거나, 화장을 마무리하거나, 다시 잠을 청했다. ‘죽음의 질주’가 될 뻔한 상황은 그렇게 ‘해프닝’으로 끝났다.

그런데 아무리 생각해도 분하다. 지금은 아침 시간 아닌가. 잠에서 깰 때지 졸 때는 아니다. 게다가 52시간 근로제 때문에 요금도 올리기로 했고 운전기사 수도 증원되지 않았나. 근무환경 개선시켜 달라고 파업 운운할 때 피곤하게 일하지 말라고 국민들이 선선히 응해 줬는데도 그냥 ‘자면’ 대체 어쩌자는 건가.

버스 운전석 앞 유리에는 경고 장치가 달려 있다. 앞차와의 거리가 가까워지면 경고음이 울리는 장치다. 버스의 졸음운전으로 인한 대형 참사가 늘면서 지난해부턴가 버스에 부착되기 시작했다. 하지만 단언컨대 이 장치는 돈만 ‘처먹을’ 뿐 실제로는 아무 도움이 되지 못한다. 이날도 경고 장치에서는 아무 일도 없었다. 설령 경고음이 들렸다 해도 마찬가지다. 그 시점에서 빽빽거려 봐야 죽음의 질주를 멈추기엔 이미 늦었다.

한여름으로 갈수록 졸음운전이 더 심해질 텐데, 버스 경고 장치는 전혀 해답이 못 된다. ‘탁상용 정책’이 불러온 ‘면피용’ 결과물에 가깝다. 가장 중요한 건 운전기사들이 격무에 시달리지 않도록 환경을 개선하는 것이다.

이후 운전기사 자신이 도로 위 ‘슈퍼 울트라 갑’이자 ‘최고 권력자’라는 것, 운전 중 쪽잠은 단순 과실이 아닌 미필적 고의라는 것을 지속적으로 인식시키고, 운전기사에 대한 부당한 처우가 사고의 화근이 됐을 경우 버스 회사 소유주도 함께 ‘참사’를 겪도록 관련 법을 강화해야 한다.

angler@seoul.co.kr
2019-07-11 3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