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가영의 장호원 이야기] 후투티와 평화로운 마당

[신가영의 장호원 이야기] 후투티와 평화로운 마당

입력 2019-06-11 17:30
수정 2019-06-12 03:0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올 듯 말 듯 다가오던 봄은 훌쩍 도망가고 적응하기도 전에 다가와 한여름 흉내 내는 유월이다. 벌써 한차례 30도 넘는 더위가 왔었고 호우주의보 내릴 만큼 소나기도 심하게 지나갔다. ‘무럭무럭’은 소리가 들리지 않아도 보이는 계절이다. 매실이 익어가고 앵두가 붉게 물들고 덜익은 어설픈 살구 떨어지는 사이 옥수수는 허리춤까지 자라고 감자꽃이 피며 오이가 매달기 시작했다.
이미지 확대
신가영 화가
신가영 화가
오월의 꽃은 뒷짐 지고 유유히 바라봤다면 유월은 살피며 바지런히 움직이며 바라보게 된다. 무섭게 자라는 잡풀들과 반갑지 않은 녀석들이 하나둘 모습을 드러내기 시작한다. 나비가 훨훨 날고 나면 양배추는 구멍이 나기 시작하고, 나무가 새로운 가지를 내놓으면 개미가 들락거리고 어느새 진딧물이 가득하다. 피를 봐야 날아가는 숲모기는 끈덕지게 쫓아다니고 나뭇잎 슬쩍 들춰 보면 발 많은 벌레들이 들킨 걸 눈치 채고 움찔한다. 땅이 우묵하게 올라와 있고 화초가 힘을 잃으면 두더지가 다녀간 것이다, 거미줄에 잔뜩 매달린 것이 있어 무엇인가 보니 새끼들을 부화했다. 거미줄에서도 꼼질거리며 움직이고 있다. 촘촘한 거미줄에 매인 것은 새끼가 아니라 먹잇감일 뿐이다.

선읍리로 이사 와서 수많은 새가 살고 있음을 귀로 듣지만 정작 눈으로 보고 알아볼 수 있는 새는 그리 많지 않다. 몇 해 전부터 맑은 호로롱 소리에 궁금증을 자아냈던 새가 있었다. 꾀꼬리는 아닌데 그렇게 아름다운 새를 모른다는 것이 답답했다. 며칠 전 비 내리던 날 그 맑은 소리 들려 나가 보니 후투티였다. 10여 년 전에 한 번 본 것이 늘 자랑거리였는데 이미 곁에서 함께 지내고 있던 거다. 무수히 중첩되어 들리는 새소리 속에서 굳이 확인하고 소유하지 않아도 곁에 머물러 있었던 거다.

어제 기르는 고양이가 또 오목눈이를 사냥해서 물고 왔다. 집에서 기르는 고양이와 집에 드나드는 고양이가 또 싸워 나가 보니 털이 뭉턱뭉턱 널려 있다. 그저 보기에 즐거운 그들이 먹고 먹히는 사슬 속에 살아감을 본다.

그럼에도 이곳은 평화롭다. 놀다가도 싸우며 죽이기도 하고 ,서로 돕고 해를 끼치고 그러면서도 함께 살아가고 있다. 보이는 것보다 보이지 않는 것이 더 많은 마당이다.

보이지 않아도 그곳에 있는 그들.
2019-06-12 3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5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1 / 5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