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혜의 발길따라 그림따라] 그의 마지막 가을/미술평론가

[이미혜의 발길따라 그림따라] 그의 마지막 가을/미술평론가

입력 2021-10-26 17:36
업데이트 2021-10-27 01:5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빈센트 반 고흐, ‘생폴 요양원의 정원’, 1889년 10월 (71.5 x 90.5㎝, 반 고흐 미술관,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빈센트 반 고흐, ‘생폴 요양원의 정원’, 1889년 10월
(71.5 x 90.5㎝, 반 고흐 미술관,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생폴 요양원은 반 고흐가 죽기 전 일 년 동안 살았던 곳이다. 얘기는 그 전해로 거슬러 올라간다. 반 고흐는 파리에서 사귄 고갱에게 아를에 와서 함께 지내자고 거듭 졸랐다. 1888년 10월 23일 고갱이 아를에 내려왔다. 반 고흐는 고갱을 열렬히 반겼지만, 고갱은 애초에 오래 머물 생각이 없었다. 성격이나 예술에 대한 태도가 판이했던 두 사람은 자주 언쟁을 벌였다. 불안한 동거는 두 달 만인 12월 23일 끝이 났다. 고갱과 싸운 뒤 반 고흐가 귀를 자르는 자해 소동을 벌였기 때문이다.

병원에 입원한 반 고흐는 ‘섬망 상태를 동반한 조증’이라는 진단을 받았다. 이듬해 3월 경찰이 그의 작업실을 강제 폐쇄했다. 동네 사람들이 ‘빨강머리 미치광이’를 쫓아내 달라는 연서를 제출해서다. 반 고흐는 생폴 요양원에 들어가기로 했다.

생폴 요양원은 아를에서 동쪽으로 30㎞ 정도 떨어진 생레미드프로방스에 있다. 수도원이었으나 프랑스 대혁명 때 정신질환자를 수용하는 요양원으로 바뀌었다. 반 고흐는 1889년 5월부터 1890년 5월까지 이곳에 있었다. 수녀들이 관리한 요양원은 의료 수준이 낮아서 환자를 격리해 놓았을 뿐 치료는 기대할 수 없었다.

열악한 상황에서도 반 고흐는 그림을 그리고 또 그렸다. 그의 예술 세계는 한껏 무르익은 상태였다. 붓이 닿는 데마다 걸작이 태어났다. 장 폴 게티 미술관에 있는 ‘붓꽃’, 뉴욕 현대미술관에 있는 ‘별이 빛나는 밤’이 이곳에서 그려졌다.

요양원의 정원에 가을이 깊어 간다. 저물녘 하늘은 청보랏빛과 연둣빛이다. 하늘과 나뭇잎 사이에 찍힌 무수한 흰 붓 자국이 빛이 돼 부서진다. 나무들은 속삭이듯 엇갈리고 몸을 비비댄다. 맨 앞의 둥치가 절단된 커다란 나무는 고통과 고독을 견디며 위엄을 지키려고 안간힘을 쓰는 것 같다.

이듬해 봄 건강이 회복될 기미가 안 보이자 반 고흐는 동생 테오에게 이곳을 떠나고 싶다는 의사를 밝혔다. 5월에 반 고흐는 요양원을 나와 파리 근교의 오베르쉬르우아즈로 갔으나 두 달 만에 자살로 생을 마감했다.
2021-10-27 3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