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협잡꾼’ 단체장도 유권자가 뽑았다

[사설] ‘협잡꾼’ 단체장도 유권자가 뽑았다

입력 2010-04-24 00:00
업데이트 2010-04-24 00: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몇몇 지방자치단체장들의 비리가 캐면 캘수록 딸려 나오는 고구마 줄기 같다. 참담한 일이다. 풀뿌리 민주주의의 현장이 이 지경이니 민선 4기가 지나도록 지방자치가 제대로 안 된 이유를 알 만하다. 토착비리를 감찰해 온 감사원이 그제 밝힌 일부 단체장들의 탈선을 보면 이게 협잡꾼이나 사기꾼이지 어딜 봐서 지방행정의 책임자라 할 수 있겠는가. 이런 단체장들도 정당이 공천했고 유권자가 뽑았으니 사람을 잘못 골라도 한참 잘못 골랐으며, 자괴감만 들 뿐이다.

그러잖아도 이달 중순 이기수 여주군수가 2억원을 같은 지역구인 이범관 의원(한나라당)에게 전달하려다가 경찰에 현행범으로 붙잡혀 구속됐다. 이달 초에는 김충식 해남군수가 조경업체로부터 1억 5000만원 등 관내업자 3명으로부터 1억 9000만원을 받아 챙겼다가 구속됐다. 그러나 감사원 감찰 결과를 보면 더욱 기가 막힌다. 민종기 당진군수는 100억원 규모의 공사를 특정업자에게 몰아주고 3억원짜리 별장을 뇌물로 받았다고 한다. 민 군수는 범죄를 감추려고 이 별장을 형의 명의로 빼돌리는 수법을 동원했다는 것이다. 또 미혼에 무직인 처제 명의로 3억원짜리 아파트를 받고, 내연관계인 여직원에겐 아파트를 사주고 10억원대의 비자금을 관리시켰다고 한다. 지자체장 4명을 포함해 이번에 적발된 30여명의 비리를 보면 가히 범죄의 전시장을 보는 듯하다.

단체장의 비리는 개인의 도덕성 탓이긴 하나, 보다 근원적으로는 정당의 탁상공천과 유권자의 무관심에도 기인한다. 해남·당진·영양군수는 정당의 공천이 확정·내정되었던 인물들이다. 정당들은 공천단계에서 이런 인물을 걸러낼 검증장치를 조속히 마련해야 할 것이다. 지방의원들도 단체장과 ‘형님, 동생’하면서 소임을 방기하지 않았는지 돌아보길 바란다. 그러나 무엇보다 유권자들이 눈을 부릅뜨고 후보자를 살펴야 한다. 4차례의 지방선거에서 투표율이 1기를 제외하고 50% 안팎인 점은 유권자들의 관심이 그만큼 낮다는 방증이다. ‘협잡꾼’ 단체장들은 바로 이런 틈을 노리고 있으며, 당선되면 지역주민이나 지역발전을 외면하고 이권부터 찾아 나서는 것이다.
2010-04-24 27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