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재·보선 민심 담아 정 총리 이을 새 진용 짜야

[사설] 재·보선 민심 담아 정 총리 이을 새 진용 짜야

입력 2010-07-30 00:00
업데이트 2010-07-30 00: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나라당이 7·28 재·보궐 선거에서 완승하고 세종시 총리로 불린 정운찬 국무총리가 어제 전격적으로 물러나면서 이명박 대통령의 집권 후반기 국정운용 선택 폭이 한층 넓어졌다. 특히 정 총리의 퇴진으로 집권 후반기 새 내각 진용을 짜기는 한결 자유로워졌다. 재·보선 완승으로 집권 한나라당에 대한 통제력도 더 강력하게 확보했다. 당정 양측에서 국정운영 동력을 더욱 강화시켜 8월25일 이후 집권 후반기를 홀가분하게 맞이하게 된 것이다. 이 대통령은 재·보선에 나타난 민심을 잘 담아 정 총리 퇴진에 따른 새 내각 진용을 짜야 할 것이다.

이 대통령은 다음 주 여름휴가를 갖고 개각과 향후 정국 구상에 몰입할 계획이라고 한다. 이 대통령은 정 총리 전격 퇴진에 따른 국정 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해 휴가 뒤 이른 시기에 개각을 단행할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개각은 총리를 포함하기 때문에 조각 수준의 중폭 이상이 될 가능성이 점쳐진다. 하지만 이 대통령은 재·보선 민심 읽기에 유념해야 할 것이다. 한나라당의 재·보선 완승은 한나라당이 잘해서도 아니고, 정부에 신뢰를 보낸 것도 아님을 결코 잊어서는 안 된다.

국민들은 6·2지방선거에서는 국민과의 소통에 소홀했던 여권을 심판했다. 이번 재·보선에서는 지방선거 승리 뒤 4대강 사업과 국책사업 뒤집기 등 사사건건 정부의 발목을 잡으며 오만하다는 인상을 준 민주당을 심판했다는 걸 알아야 한다. 정권의 2인자로 불리는 이재오 전 국민권익위원장과 이 대통령의 정책브레인 윤진식 전 청와대 정책실장의 여의도 입성도 여권에 호재만은 아님을 잊지 말아야 한다. 이 전 위원장의 복귀는 박근혜 전 대표와의 갈등·반목 재료가 될 수 있다.

민심은 언제든지 변할 수 있다. 한나라당은 자만하지 말고 자세를 낮춰 국민의 명령을 수행해야 한다. 주류, 비주류 간 집안 싸움을 접고 민생을 챙겨야 한다. 지방선거 패배 후 국민에게 약속했던 국정쇄신은 철저히 단행해야 한다. 후퇴하면 바로 민심의 역풍을 맞을 것이다. 유권자들이 한나라당을 지지한 것은 안정적 정국 구도에서 국정쇄신에 힘쓰라는 채찍임을 알아야 한다. 이명박 정부의 집권 후반기를 꾸려갈 참신하고 역량 있는 새 내각이 꾸려질지 국민은 눈 부릅뜨고 지켜볼 것임을 명심해야 한다. 신중한 인선으로 잡음을 없애야 한다.
2010-07-30 3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