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수능 EBS연계 수험생의 체감도 더 높여야

[사설] 수능 EBS연계 수험생의 체감도 더 높여야

입력 2010-11-22 00:00
업데이트 2010-11-22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난주 목요일에 치른 2011학년도 대학입학 수학능력시험은 교육 당국이 약속한 대로 EBS 교재에서 다수 출제돼 연계율이 70%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언어는 72%, 수리는 ‘가’형이 70%이고 ‘나’형이 80%, 외국어가 70%에 이른다고 출제한 쪽에서 집계했다. 일선 교사와 학원강사들도 이 같은 발표에 공감한다. 하지만 시험문제가 EBS 교재에서 많이 나왔는가를 최종 판단하는 주체는 역시 수험생들이다. 그 수험생들이 “이런 식으로 출제한다면 EBS 연계가 무슨 의미가 있느냐.”며 분통을 터뜨렸다고 한다. 결국 EBS 교재에서 70%가 넘는 문제를 가져오고도 수험생들이 실감하게끔 만드는 데는 실패했다는 뜻이다.

이런 현상이 왜 벌어졌는지 그 원인은 자명하다. 난이도 조절에 실패했기 때문이다. 출제 당국은, EBS 교재를 활용하더라도 문제를 똑같이 내지는 못하므로 변형할 수밖에 없다고 강조한다. 옳은 말이다. 다만 원래 문제를 ‘비틀어서 낸’ 정도가 너무 지나쳤기에 수험생들이 반발하는 것이다. 즉 지문·자료가 익숙하긴 한데 요구하는 답은 전혀 다른 방향이었다면 EBS 교재를 집중 공부해 봤자 수험생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지는 않았을 터이다. 오죽하면 ‘웃으면서 시험 보고 울면서 답 맞춘다.’는 말이 나왔겠는가.

수능에 EBS 교재를 연계시킨 목적은 사교육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서였다. 그래서 교육당국은 학원에 가지 않고 EBS 교재만 열심히 공부해도 수능에서 높은 점수를 받을 수 있다고 공언해 왔다. 그런데 수험생들이 이를 체감하지 못하면 연계율이 70%를 넘긴들 무슨 소용이 있겠는가. 오히려 EBS 교재는 또 하나의 짐만 안겨줄 뿐이다. 이번 수능을 치른 뒤 학원가 일각에서 EBS 교재를 따로 가르치는 사교육이 성행하리라는 예상이 나온다니 참으로 안타깝다.

수능의 EBS 연계를 성공시키는 방법은 하나밖에 없다. EBS 교재를 수능에서 활용할 때 난도를 대폭 낮추는 것이다. EBS 교재를 제대로 이해하고 푼 학생이라면 수능에 비슷한 문제가 나왔을 때 정답을 맞히게끔 해줘야 한다. 사교육을 완화하고자 수립한 정책이 거꾸로 부작용을 불러오지 않도록 내년부터는 수험생 체감도를 한층 높이기 바란다.
2010-11-22 3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