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선관위 질문에 안철수 원장이 답할 차례다

[사설] 선관위 질문에 안철수 원장이 답할 차례다

입력 2012-08-15 00:00
업데이트 2012-08-15 00: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안철수 재단의 활동에 조건부 제동을 걸었다. 재단에 기금을 출연한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이 재단 운영에 관여하지 않는다 해도 ‘안철수 재단’ 이름으로 기부를 하거나 금품을 제공하면 입후보 예정자가 주는 것으로 추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공직선거법에 어긋난다는 것이다. 선관위의 유권해석은 안 원장이 비록 대선 출마 선언은 하지 않았으나 누구도 부인할 수 없는 18대 대통령 선거의 잠재후보인 현실을 반영한 조치일 것이다. 나아가 이제 안 원장 스스로 대선에 출마할 것인지 말 것인지를 선택하고, 이를 국민 앞에 고해야 하는 시점에 이르렀음을 일깨우는 조치이기도 하다. 안 원장 측은 예상치 못한 선관위의 유권해석 앞에서 해법 찾기에 부심하고 있다고 한다. 그러나 오른손이 하는 일을 왼손이 모르게 할 방도가 마땅치 않은 만큼 사실상 결론은 재단 활동을 대선 이후로 늦추는 쪽으로 갈 듯하다.

지금 국민의 관심은 안철수 재단에 있지 않다고 본다. 재단의 향배는 지엽의 사안이다. 안 원장이 출마할 것인가 말 것인가, 이것이 지금 국민이 던지는 유일한 질문이고, 안 원장 스스로 적어내야 할 답안지다. 12월 19일 실시되는 대선은 15일 기준으로 126일, 꼭 18주를 남겨 놓고 있다. 불과 넉 달이다.

안 원장은 지난달 자신의 국정철학을 담은 책을 내면서 대선 출마를 놓고 세 가지를 고민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지지층의 생각이 무엇인지, 자신이 과연 그 지지층의 기대 수준에 맞는지, 그리고 그만한 능력과 자질을 갖추고 있는지다. 대선 출마를 꿈꾸는 자라면 응당 해야 할 최소한의 자문자답이다. 그러나 정작 중요한 상위의 명제는 따로 있다. 선거의 주인은 후보가 아니라 유권자라는 사실이다. 후보는 선거라는 정치시장의 상품일 뿐이고 이를 살지 말지는 고객, 즉 유권자의 몫이다.

안 원장은 이제 재단의 향배가 아니라 자신의 출마 여부를 밝힐 시점에 섰다고 본다. 책 한 권 내고, 찔끔찔끔 방송에 얼굴 비추고, 외부일정을 사후 공개하는 식의 ‘티저광고형’ 행보는 대선을 넉 달 앞둔 시점에서 적절하지 않다. 두루뭉술한 비전이 아니라 쟁점 현안에 대한 치열한 논쟁을 통해 검증을 받아야 할 시점이다. 대한민국 5년을 이끌 상품을 제대로 고를 기회를 유권자들에게 주는 것, 그게 상식의 정치일 것이다.

2012-08-15 3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