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허점투성이 입학사정관제 보완 서둘러야

[사설] 허점투성이 입학사정관제 보완 서둘러야

입력 2012-08-18 00:00
업데이트 2012-08-18 00:2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올해로 도입 5년째를 맞은 입학사정관제의 문제가 다시 불거졌다. 서류위조, 대필의혹, 사정관의 전문성 부족 등 잡음이 끊이지 않은 터에 이번에는 지적장애인 집단 성폭행 가담 사실을 숨긴 채 입학사정관제로 대학에 입학한 비리가 적발됐다. 2년 전에 정신지체장애 여중생을 집단 성폭행한 사건에 가담했던 학생 중 한 명이 지난해 입학사정관제 리더십 전형으로 성균관대에 버젓이 입학한 사실이 드러나 대학당국이 조사에 들어갔다. 학생은 고등학교를 졸업하기 전인 지난해 12월 소년보호 처분을 받았지만, 이런 사실을 빼고 자기소개서를 작성했다는 것이다. 대학은 ‘봉사를 많이 했다.’는 교사의 추천서만 믿고 입학시켰다니 입학사정관제의 맹점이 그대로 드러난 셈이다.

입학사정관제는 학업성적뿐 아니라 학생의 잠재력과 소질을 보고 선발한다는 취지로 2008학년도부터 도입됐다. 제대로 뿌리내리기만 하면 공교육을 살리고 사교육 폐해를 줄일 수 있는 바람직한 제도라고 본다. 도입 초기의 우려에도 불구하고 ‘정착단계’에 들어섰지만 보완할 점은 여전히 많다. 수험생의 경력을 조작한 뒤 입학사정관제를 통해 대학에 입학시킨 브로커와 학부모가 적발됐는가 하면 입학사정관이 그 경력을 바탕으로 대입 컨설턴트로 변신한 사례도 있었다. 사교육을 없애겠다는 입학사정관제의 취지가 무색할 지경이다.

오늘로 수능은 82일 남았다. 오는 22일 수능 원서접수가 시작된다. 교육과학기술부와 대학당국은 입학사정관제 보완을 서둘러야 한다. 대부분 대학들이 선발과정에서 학생부 기록만 확인하고 외부 형사사건 전과기록 조회를 하지 않는 문제점은 시급히 고쳐야 한다. 학교폭력 사실의 학생부 기재가 시도 교육청별로 제각각인 점도 개선 대상이다. 학생이나 교사의 허위 기재나 사실 은폐에는 단호한 조치를 내려야 한다. 입학사정관제의 정착은 신뢰에 달려 있다.

2012-08-18 27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