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박근혜 후보 역사 바로 봐야 미래 있다

[사설] 박근혜 후보 역사 바로 봐야 미래 있다

입력 2012-09-14 00:00
업데이트 2012-09-14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새누리당 박근혜 대통령후보의 역사관을 둘러싼 논란이 끊이질 않고 있다. 5·16과 유신에 이어 최근에는 인혁당 사건에 대한 박 후보의 인식이 여론의 도마에 올랐다. 박 후보는 최근 “(이 사건에 대해) 대법원 판결이 두 가지로 나왔다”, “(인혁당) 조직에 몸담았던 분들의 최근 다른 증언도 감안해 역사의 판단에 맡겨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인혁당 사건에 대한 박 후보의 인식에 대해서는 여당 내에서조차 우려가 나오고 있다. 결국 당 대변인이 인혁당 사건에 대한 박 후보의 발언을 ‘사과’한다는 발표를 하고, 박 후보가 곧바로 이를 부인하는 혼선까지 노출했다. 그토록 소통을 강조하는 박 후보가 역사 문제에 대해서는 귀를 닫고 있다는 비판을 피할 수 없을 것 같다.

역사적 인물이나 사건에는 늘 공과 과, 빛과 그늘이 공존한다. 박정희 전 대통령도 마찬가지다. 수많은 논쟁을 거쳐, 박 전 대통령이 우리나라 산업화에 크게 기여했다는 공로에 대해서는 국민 전체적인 공감대가 형성됐다. 그러나 5·16과 유신, 인혁당 사건에 대한 평가는 별개의 것이다. 그런데 박 후보는 박 전 대통령의 공에 대한 평가는 받아들이면서 과에 대한 평가는 부정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박 후보는 자신의 역사 인식에 국민의 절반 이상이 동의한다고 말한 바 있다. 설사 그렇다고 하더라도 동의하지 않는 절반의 인식이 잘못된 것은 아니다. 특히 박 후보가 국민 대통합을 이루려 한다면 자신의 역사관에 동의하지 않는 절반의 목소리에도 귀를 기울여야 할 것이다.

박 후보는 또 과거가 아니라 미래를 보자고 말하고 있다. 그러나 과거를 바로 보지 않으면 미래가 없다는 사실을 우리는 한·일관계에서 적나라하게 경험하고 있다. 현재 대통령 후보로서 가장 많은 지지를 받고 있는 박 후보가 이처럼 과거의 논란에서 헤어나오지 못하는 것은 안타까운 일이다. 박 후보는 역사에 대한 인식을 다시 정리해 국민에게 밝힐 수 있는 기회를 갖기 바란다. 물론 사람의 생각은 쉽게 바뀌지 않는다. 박 후보의 역사관도 손바닥 뒤집 듯 바뀔 수는 없을 것이다. 그러나 대 국민 소통과 통합이라는 차원에서 박 후보가 좀 더 진지하고 치열한 고뇌를 해보기를 기대한다.

2012-09-14 3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