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사설] 철새 뒤만 쫓는 AI 방역시스템 바꿔라

[사설] 철새 뒤만 쫓는 AI 방역시스템 바꿔라

입력 2014-01-25 00:00
업데이트 2014-01-25 00: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겨울 철새가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발생의 주범으로 지목되면서 이에 대한 방역대책 마련이 시급해졌다. 전북 고창에서 AI가 첫 발생한 이후 금강 하구와 삽교호 등에서 죽은 가창오리도 AI에 감염된 것으로 확인돼 방역 당국의 고민이 더욱 깊어지고 있다. 우리나라를 찾은 겨울 철새는 경남 주남저수지와 금강하구 등의 철새도래지를 오가다가 2월쯤 시베리아로 떠난다. 자칫 전국이 ‘AI 패닉’에 빠질 우려가 커진 상태다.

방역 당국은 철새의 이동경로를 추적하는 등 연일 방제작업에 매달리고 있다. AI의 잠복기가 최대 21일인 점을 감안하면 다음 주가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여 아직 안심하기에는 이르다고 본다. 최근 며칠간 방역대 밖에서의 추가 감염 의심 신고가 없다는 점이 그나마 다행이다. 우리는 2003년 이후 AI 사태를 다섯 번 겪었다. 그때마다 엄청난 유·무형의 피해를 입었다. 이번 AI 발생도 국내 오리와 닭 유통시장에 먹구름을 던졌고, 어렵사리 얻었던 AI 청정국 지위도 잃을 것으로 예상돼 수출 길도 걱정해야 할 상황이다.

아직 AI의 발생 원인에 대한 정확한 역학조사 결과는 나오지 않았다. 하지만 철새가 원인이란 것은 기정사실화된 상태다. 그동안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AI의 대부분은 철새에서 비롯됐다. 철새는 활동 반경과 이동 경로가 매우 넓고 가금류보다 면역력도 강한 편이다. 철새에 대한 심도있는 점검과 연구를 해야 할 이유가 여기에 있는 것이다. AI가 발생할 우려가 큰 겨울철을 앞두고 철새의 이동 현황을 보다 세세히 파악해야 한다. 지금도 야생조류의 분변 예찰과 철새이동 경보시스템을 구축해 가동하고는 있다. 하지만 대책은 대부분 발생 이후의 응급처방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철새의 이동로인 중국과 러시아 등 주변 국가와 철새 이력을 공유하는 사전적인 국제적 노력도 더 기울여야 한다. 이참에 정부는 철새도래지 인근에서의 가금류 사육을 줄이는 방안도 검토하길 바란다. 무엇보다 야생조류의 이동을 감지할 위성항법장치(GPS )의 부착도 더 많아져야 예찰 활동에 정확성을 더 기할 수 있다. 언제까지나 철새 뒤꽁무니만 따라다니는 방제만 할 수 없는 노릇 아닌가.
2014-01-25 27면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