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이 다자간 외교를 위해 어제 유엔 방문길에 올랐다. 박 대통령은 26일 유엔개발정상회의·글로벌교육우선구상 고위급회의, 28일 유엔총회에서 기조연설을 한다. 이번 유엔총회는 창설 70주년이라는 상징성을 띠고 있어 160여명의 국가원수와 정부 수반이 대거 참석하는 역대 최대 규모다.
박 대통령은 이런 다자간 외교 무대를 활용해 한반도 안보·통일에 초점을 맞출 것으로 보인다. 다음달 10일 노동당 창건 70주년 전후로 예상되는 북한의 장거리 로켓 발사나 4차 핵실험 등 추가 도발 억지에 총력전을 기울일 방침이다. 유엔총회 기조연설은 물론 각종 행사에서 강력한 메시지를 보내고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 등 주변 강대국을 비롯한 주요국 정상과의 ‘조우외교’를 통해 북한 도발 예방과 평화통일의 지지를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박 대통령의 이런 구상은 어제 보도된 블룸버그 통신과의 인터뷰에 잘 나타나 있다. 박 대통령은 “만약 북한이 유엔 안보리 결의에 위배되는 도발 행동을 강행한다면 분명히 대가를 치를 것”이라고 경고하면서 북핵 포기 때 경제적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란 대북 정책을 재차 확인했다. 동북아 평화 정착과 관련, 갈등을 빚고 있는 한·일 관계와 관련해 “상호 신뢰를 바탕으로 앞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밝힘으로써 유엔총회 연설의 방향을 암시했다. 시선을 끄는 것은 26일 유엔개발정상회의 본회의다. 박 대통령은 여기서 새마을운동의 세계화를 주창한 뒤 새마을운동 고위급 특별행사에도 참석한다. 새마을운동의 원조국으로서 개발도상국과의 연계 고리를 확대해 외교적 지평을 확대하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
미·일 군사동맹 강화에 반발하고 있는 중국의 군사굴기와 응석받이 북한의 돌연한 핵 도발 가능성 등 한반도와 동북아 정세는 복잡하게 돌아가는 것이 현실이다. 유엔 다자외교에서 박 대통령의 목표는 명확하다. 한반도의 평화통일이 남북한뿐만 아니라 동북아 주변국들의 경제적 이익과도 직결된다는 점을 우선적으로 설득해 국제사회의 폭넓은 지지와 협조를 받는 일이다. 중국 전승절 참석 이후 탄력받은 박 대통령의 외교 행보는 다음달 16일 열리는 한·미 정상회담과 10월 말쯤으로 예정된 한·중·일 정상회담으로 이어진다. 박 대통령의 유엔총회에서의 다자외교는 물론 향후 일련의 정상회담에서 한국이 균형 잡힌 중재자로서 적극적인 역할을 떠맡아 한반도와 동북아 정세에서 주도적 역할을 수행해야 할 것이다.
박 대통령은 이런 다자간 외교 무대를 활용해 한반도 안보·통일에 초점을 맞출 것으로 보인다. 다음달 10일 노동당 창건 70주년 전후로 예상되는 북한의 장거리 로켓 발사나 4차 핵실험 등 추가 도발 억지에 총력전을 기울일 방침이다. 유엔총회 기조연설은 물론 각종 행사에서 강력한 메시지를 보내고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 등 주변 강대국을 비롯한 주요국 정상과의 ‘조우외교’를 통해 북한 도발 예방과 평화통일의 지지를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박 대통령의 이런 구상은 어제 보도된 블룸버그 통신과의 인터뷰에 잘 나타나 있다. 박 대통령은 “만약 북한이 유엔 안보리 결의에 위배되는 도발 행동을 강행한다면 분명히 대가를 치를 것”이라고 경고하면서 북핵 포기 때 경제적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란 대북 정책을 재차 확인했다. 동북아 평화 정착과 관련, 갈등을 빚고 있는 한·일 관계와 관련해 “상호 신뢰를 바탕으로 앞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밝힘으로써 유엔총회 연설의 방향을 암시했다. 시선을 끄는 것은 26일 유엔개발정상회의 본회의다. 박 대통령은 여기서 새마을운동의 세계화를 주창한 뒤 새마을운동 고위급 특별행사에도 참석한다. 새마을운동의 원조국으로서 개발도상국과의 연계 고리를 확대해 외교적 지평을 확대하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
미·일 군사동맹 강화에 반발하고 있는 중국의 군사굴기와 응석받이 북한의 돌연한 핵 도발 가능성 등 한반도와 동북아 정세는 복잡하게 돌아가는 것이 현실이다. 유엔 다자외교에서 박 대통령의 목표는 명확하다. 한반도의 평화통일이 남북한뿐만 아니라 동북아 주변국들의 경제적 이익과도 직결된다는 점을 우선적으로 설득해 국제사회의 폭넓은 지지와 협조를 받는 일이다. 중국 전승절 참석 이후 탄력받은 박 대통령의 외교 행보는 다음달 16일 열리는 한·미 정상회담과 10월 말쯤으로 예정된 한·중·일 정상회담으로 이어진다. 박 대통령의 유엔총회에서의 다자외교는 물론 향후 일련의 정상회담에서 한국이 균형 잡힌 중재자로서 적극적인 역할을 떠맡아 한반도와 동북아 정세에서 주도적 역할을 수행해야 할 것이다.
2015-09-26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