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김정은發 대화 국면, 한·미 긴밀 공조로 대응해야

[사설] 김정은發 대화 국면, 한·미 긴밀 공조로 대응해야

입력 2018-01-02 22:44
업데이트 2018-01-03 00:4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정부, 북 ‘通南通美’ 의도 헤아려… 투명하고 원칙 있는 대화 나서야

새해를 맞아 김정은 북한 국방위원장이 내민 대화의 손길은 한반도 정세의 갈림길이자 우리에게 정교한 응전을 요구하는 도전이다. 핵 전력 완성을 주장하는 그들이 새해 벽두 국면 전환을 시도할 것이라는 점은 이미 예견됐던 일로, 남북 간 해빙 무드를 북·미 대화의 유리한 지형 확보를 위한 교두보로 삼고자 하는 ‘통남통미’(通南通美) 전략임은 불문가지일 것이다. 김 위원장의 손짓을 대화 공세라 지칭할 수밖에 없는 것도 남북 간 대화와 화해를 목표가 아닌 수단으로 삼고 있기 때문이며, 얼마든 우리의 북핵 대응에 심각한 타격을 가할 독소를 내포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만큼 향후 펼쳐질 남북 간 대화에서 우리의 현명하고 슬기로운 대응이 요구된다고 할 것이다.

어제 조명균 통일부 장관의 고위급 남북 당국 간 회담 제의로 본격화한 대화 국면에서 정부는 크게 두 가지의 대원칙을 견지해야 한다고 본다. 우선 대화의 단계별 범위를 명확히 해야 하며 목표치를 작게 잡고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 북은 김 위원장 신년사에서 내비쳤듯 평창동계올림픽 참가 조건으로 한·미 연합군사훈련 중단, 미군 전략자산 순환배치 중단, 대북 제재 해제, 대규모 경제협력 재개, 개성공단 재가동 등을 제시할 공산이 크다. 그러나 이들 사안은 북핵 등 한반도 안보상황과 직결된 것들로 평창올림픽과 무관할뿐더러 북핵과 연동해 한·미 동맹의 틀 속에서 논의될 일들이다. 특히 북이 더이상의 핵·미사일 도발을 하지 않겠다는 의사를 국제사회에 천명해야 논의할 수 있는 일들이다. 정부는 이 점을 명확히 해 북측과의 대화에 임해야 한다. 대화 과정에서 북이 평창올림픽 불참 가능성을 내비치며 우리 정부를 압박하려 들 수 있겠으나 이들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해도 평창올림픽 참가로 얻을 막대한 실리까지 내팽개칠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점을 인식하고 조급한 자세를 버려야 한다.

두 번째로 정부에 요구되는 것은 대내외적으로 투명성을 견지하면서 한·미 동맹의 틀 속에서 접근해야 한다는 점이다. 한국 정부에 대한 불신의 목소리가 워싱턴 정가에서 높아 가는 상황에서 이번 남북 간 대화 모색은 미 정부에 문재인 정부와 한·미 동맹의 현주소를 평가하는 척도가 될 것이다. 그리고 그 결과는 북핵에 임하는 한·미 공조의 강도와 방향을 결정할 것이다. 한반도의 운전석을 내놓지 않기 위해서라도 대화의 모든 상황을 미 행정부와 공유해 상호 신뢰 수준을 높이는 일이 중요하다. 비공식 채널을 통한 물밑 대화 욕구가 어느 때보다 클 수 있겠으나 이는 자칫 나라 안팎으로부터 불신만 자초하는 결과가 될 수 있음을 직시해야 한다. 공개적으로 진행될 고위급 당국 대화에서도 그 어떤 형태로든 이면 합의는 결코 없어야 한다. 지난 김대중·노무현 정부 때의 대북 퍼주기 논란이 지금껏 이어지는 이유의 하나가 남북 간 대화의 불투명성에 있다는 점을 현 정부는 명심해야 한다.
2018-01-03 31면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