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靑 경제 투톱, 성과 도출에 명운 걸라

[사설] 靑 경제 투톱, 성과 도출에 명운 걸라

입력 2019-06-23 22:52
업데이트 2019-06-24 00: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21일 청와대 정책실장과 경제수석에 각각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과 이호승 기획재정부 1차관을 임명했다. 지지부진한 경제 성과가 청와대 경제참모 투톱에 대한 인적 개편으로 이어진 것으로 풀이된다. 임명된 후 채 1년도 되지 않은 김수현 전 정책실장과 윤종원 전 경제수석에 대한 교체는 문 대통령과 청와대가 경제 상황에 엄중한 인식을 갖고 있다는 점을 보여 준다.

그동안 청와대는 경제 낙관론을 펴 왔다. 문 대통령도 지난달 초 취임 2주년 대담 때 “(경제성장률이) 하반기에는 2% 중후반 수준을 회복할 것이다”, 같은 달 14일에는 “우리 경제는 성공으로 나아가고 있다”고 평가했다. 하지만 청와대는 지난 7일 “경기 하방 위험이 장기화할 소지도 배제하기 어렵다”며 경기 부진을 처음으로 인정했다. 정부는 다음달 초 발표하는 ‘하반기 경제정책 방향’에서 올해 성장률 목표치(현 2.6~2.7%)를 2.5% 이하로 하향 조정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미국 블룸버그가 집계한 국내외 40개 기관의 올해 우리나라 성장률 전망치는 평균 2.2%에 불과하다.

청와대 새 경제 투톱은 더이상 ‘희망 고문’을 되풀이해서는 안 된다. 지난해 11월 4일 당시 장하성 정책실장은 “내년에는 실질적인 (경제) 성과를 체감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지만 올 들어 각종 경제지표는 바닥을 치고 있다. 연초부터 수출이 꺾이자 정부는 ‘상저하고’(上低下高)를 장담했지만 수출 반등 기미는 보이지 않는다. 최근에는 내년부터 경기가 호전될 것이라고 말을 바꿨으니 곱게 들릴 리 없다.

청와대와 새 경제 투톱의 역할은 분명하다. 정책 쇄신으로 경제 성과를 도출해 내는 데 명운을 걸어야 한다. 그동안 청와대의 그립(통제)이 강해 ‘청와대 정부’라는 비판을 받아 온 데다 현 정부에서 존재감이 두드러졌던 김 위원장이 정책실장으로 발탁돼 청와대 쏠림 현상이 더 심화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불식해야 한다. 또 일각에서 제기되는 김 전 실장과 윤 전 수석의 재입각설이 현실화된다면 이번 인적 개편의 취지가 훼손될 수 있는 만큼 신중해야 한다.

2019-06-24 3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