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삼성과 LG, 헐뜯기 대신 기술력으로 경쟁하라

[사설] 삼성과 LG, 헐뜯기 대신 기술력으로 경쟁하라

입력 2019-09-19 00:16
업데이트 2019-09-19 04:2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대기업들이 상대사의 제품을 비방하고 인력·기술 유출 등으로 갈등을 빚고 있어 우려스럽다. LG전자는 그제 서울 여의도 본사에서 기술 설명회를 열고 삼성전자의 8K QLED TV(UHD TV보다 4배 선명한 화질)의 화질 선명도가 국제 기준에 미치지 못한다고 주장했다. 자사 제품인 8K OLED TV와 화질을 비교하며 해상도에서 큰 차이를 보인다고 설명했다.

삼성전자도 이에 질세라 같은 날 서울 서초구 삼성전자 서울R&D캠퍼스에서 똑같은 방법의 반박 설명회를 개최했다. 삼성전자는 자사 제품이 국제표준 해상도 기준을 충족하고 있을 뿐 아니라 콘텐츠 구현 등에서 LG전자의 제품보다 더 우위에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와 별개로 이날 서울지방경찰청은 서울 종로구 SK이노베이션 본사와 대전 대덕기술원을 압수수색 했다. LG화학이 지난 5월 전기차의 배터리 개발 인력과 기술을 유출했다며 SK이노베이션을 고발한 데 따른 조치다.

기업이 자사 제품의 비교 우위를 홍보하고 자부심을 갖는 것은 당연한 마케팅 전략일 수 있다. 그러나 삼성전자와 LG전자의 갈등은 제품의 홍보를 넘어 상대를 비방하고 헐뜯는 수준에 이르고 있어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 더구나 세계 유수 기업체들과 구매자들이 모이는 국제 행사장에서도 이 같은 모습을 보여 국내외 소비자들의 시선이 곱지 않다. 실제로 LG전자는 지난 7일 독일 베를린에서 열린 가전·정보기술(IT) 전시회인 ‘IFA 2019’ 행사에서도 삼성전자의 QLED TV 화질 선명도 문제를 제기했다. 2014년에는 같은 국제 행사장에서 전시 중인 경쟁사의 세탁기를 훼손했다는 혐의로 수사를 받기도 했다. 미국과 중국, 일본 기업들이 쾌재를 부를 만하다. 국민의 눈에는 소모적인 싸움에 불과하고, 수출 상품의 고품질 이미지에도 맞지 않는다. 헐뜯기가 아닌 기술력으로 경쟁하기 바란다.

2019-09-19 3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