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기의 예술동행] 지역 문화예술, 균형발전 시대를 열다

[이창기의 예술동행] 지역 문화예술, 균형발전 시대를 열다

입력 2024-08-27 02:03
수정 2024-08-27 02:3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국내에 설립된 지역문화재단은 얼마나 될까. 서울을 포함한 광역자치단체에는 17개, 기초자치단체에는 124개의 문화재단이 설립돼 있다. 무려 141개의 문화재단이 행정구역별로 두루 갖춰져 있다. 국민 일상에 문화예술이 직접 닿도록 이렇게 공공서비스 전달체계를 잘 갖춘 국가는 세계적으로도 찾기 힘들다.

과거 민법 제32조, 문화예술진흥법 제4조에 근거했던 지역문화재단은 2013년 지역문화진흥법의 제정으로 구체적인 법적 근거(제5장 19조)를 갖추게 됐다. 각 지역은 문화재단을 필두로 지역문화에 대한 관심을 유도하고 정책과 사업 확대를 견인해 왔다. 문화재단이 없는 지자체는 지역 간 문화 격차 해소와 지역 고유의 문화 발전을 위한 필요를 체감해 지금도 문화재단 설립을 계속 검토하고 있다.

광역자치단체의 경우 경기문화재단(1997)을 시작으로 강원과 서울 등 현재 17개 시도가 모두 문화재단을 갖추고 있다. 지역 특성과 여건에 맞게 존립해 온 문화재단들은 지역문화의 균형발전과 문화자치 강화를 위한 재단 간 연대와 협치 필요성에 공감했고, 2012년 시도문화재단 대표자 회의를 모태로 ‘한국광역문화재단연합회’를 발족해 지역문화 발전을 위한 정책 제언과 법제도 개선에 노력해 왔다. 기초자치단체에선 강릉문화재단(1998)을 시작으로 부천, 고양 등 전체 시군구의 54%에 이르는 124곳이 문화재단을 갖추고 있다. 광역과 마찬가지로 전략적 연대를 위한 기초문화재단 간의 ‘전국지역문화재단연합회’(2012)를 조직해 운영하면서 협력 네트워크 기반의 공동 사업을 다양하게 펼치고 있다.

그러나 광역과 기초로 나뉘는 지역문화재단 간의 구분이 무색하게 우리가 당면한 지역사회 문제와 현실은 분리할 수 없는 공통의 문제라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것은 인구절벽이 불러온 지방 소멸 위기와 이로써 심화된 ‘지역 간 문화 불균형’ 현상으로, 지역문화의 균형발전을 위한 우선 해결 과제가 됐다. 따라서 지역문화재단이 나서서 먼저 해야 할 일은 이원화된 현재의 연합회를 하나로 묶어 강력한 협력체를 만들고, 지역의 목소리를 중앙정부에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통합된 창구를 조직해 정책 전달체계를 새롭게 정비하는 일이다.

지난주 서울에서는 이를 위한 행보가 처음 시작됐다. 전국의 지역문화재단이 뜻을 모아 하나의 통합법인 ‘한국지역문화재단총연합회’를 출범시켰다. 총연합회의 초대 회장을 맡게 된 필자는 이번 출범이 갖는 의미를 단순히 새로운 조직의 탄생으로만 보지 않는다. 지역문화의 균형발전을 위한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확신한다. 예술가에게는 전국 곳곳으로 예술 활동의 기회를 넓히는 계기가, 국민에게는 전국 어디에 살든 누구나 보편적 문화 향유가 가능해져 ‘삶의 질’이 높아지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다. 지역 문화예술의 균형발전에 한 걸음 더 가까워진 새 시대 앞에서 오늘도 9000여명에 이르는 전국 지역문화재단 종사자들은 함께 전심전력하고 있다.

이창기 서울문화재단 대표

이미지 확대
이창기 서울문화재단 대표
이창기 서울문화재단 대표
2024-08-27 3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정치적 이슈에 대한 연예인들의 목소리
가수 아이유, 소녀시대 유리, 장범준 등 유명 연예인들의 윤석열 대통령 탄핵 집회에 대한 지지 행동이 드러나면서 반응이 엇갈리고 있습니다. 연예인이 정치적인 이슈에 대해 직접적인 목소리는 내는 것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연예인도 국민이다. 그래서 이는 표현의 자유에 속한다.
대중에게 강력한 영향력을 미치는 연예인은 정치적 중립을 지켜야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