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인의 활발발] 거짓말을 믿고자 하는 자의 슬픔

[법인의 활발발] 거짓말을 믿고자 하는 자의 슬픔

입력 2019-09-30 17:42
수정 2019-10-01 03:2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차담하는 자리에서 지인이 한숨을 쉬며 하소연했다. 친정어머님께서,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이후부터 이른바 태극기 집회에 나가시더니, 옆에서 보기에 민망할 정도로 사고와 언행이 변했다는 것이다. 그의 어머니는 ‘가짜뉴스’를 사실로 믿고 있었다. 딸이 합리적 대화를 위해 보수매체에서도 그건 가짜뉴스라고 말했다고 해도 믿지 않는다. 마침내 대화가 불가능한 지경에 이르렀다. 평생 교사였던 나의 어머니가 왜 저렇게 편견과 편집에 사로잡히셨나 하는 생각에 딸은 가슴이 답답하다.
이미지 확대
법인 실상사 한주
법인 실상사 한주
그 어머니의 판단과 신념은 유튜브에 근거하고 있다. 내 주위의 적지 않은 사람들도 종합편성 채널과 유튜브의 뉴스에 의존해 정보를 얻고 판단을 하고 있음을 최근에 알았다. “제가 알기로 그건 사실이 전혀 아닌데요. 잘못 알려진 이야기입니다”라고 지적을 하면 이들은 곧장 반격한다. “그거 방송에 나온 이야기예요.” 처음에는 그렇게 알려졌지만 언론의 ‘팩트체크’에서 거짓으로 밝혀졌다고 하면 화를 낸다. 그 언론이 거짓말을 한단다. 본인들이 즐겨 보는 유튜브 어느 방송의 말이 가장 정확한 진실만을 알리고 있다고 항변한다. 안타까운 확증편향이다. 아마 그들은 자신들이 주장하는 사실이 나중에 가짜뉴스임을 알아도 내심에 묻어 두고 밖으로는 결코 인정하지 않을 것이다. 허물을 고백하지 않는 닫힌 시대를 살고 있는 것이다.

거짓말, 비난하는 말, 모욕하는 말, 거친 욕설, 분열을 노리는 말들 속에서, 말의 오염과 말의 비틀거림을 본다. 말은 한 시대의 자화상이다. 더구나 지금은 신기에 가까울 만큼의 묘기를 부리는 매체를 타고 말들은 무진한 기세로 사람들의 뇌를 파고든다. 말은 사람들의 신경을 건드리고 마비시킨다. 전해들은 말은 기억이 된다. 저장된 기억은 신념이 된다. 말은 단순히 전달의 수단이 아니다. 말은 구체적인 삶의 그림이다. 말은 곧 개별자의 삶이고 인간사회의 모습이다. 말의 모습을 보면 한 시대의 얼굴을 읽을 수 있다. 그래서 선지자는 말의 모습을 보고 시대의 위기를 감지하고 예언했다.

우리를 품격 없고 초라하게 만드는 풍경은 거짓말에 있지 않을까. 물론 어느 시대나 거짓말은 있었다. 석가모니 재세시에도 부처님을 음해하고자 이교도들이 가짜뉴스를 생산해 냈다. 석가모니가 어느 여성과 정을 통하여 임신시켰다고 소문을 퍼뜨렸다. 소문이 난 몇 달 후 여인은 자신의 배 주위를 천으로 두껍게 감싼 모습을 사람들에게 보여 임신을 의심케 했다. 가짜 연출인 셈이었다. 인간의 서글픈 모습이 아닐 수 없다.

그렇다면 왜 인간은 거짓말을 하는 것일까. 거짓말의 뿌리는 깊고 이유는 천차만별일 것이다. 대체로 어떤 의도를 이루기 위해서 거짓말을 할 것이다. 돈을 벌고자, 선거에 승리하려고, 사랑과 명성을 독차지하려고 치밀하게 거짓말을 하고 연출한다. 이런 거짓말은 나중에 드러나면 도덕적 지탄과 법적 처벌을 받는다. 다소의 시차는 있을지언정 뿌리고 거두는 인과의 법칙은 엄정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사적 이득을 얻고자 하는 거짓말과 달리 매우 안타까운 거짓말의 또 다른 모습이 있다. 그것은 거짓말을 열성적으로 ‘믿는’ 자의 모습이다. 또 거짓말을 애써 ‘믿고자’ 하는 모습이다. 불순한 의도로 거짓말을 생산해 내는 사람들에게는 분노가 일어나지만 거짓말을 믿고, 믿으려 하는 사람들을 보노라면 가슴에 연민의 감정이 일어난다. 왜 그럴까. 가시적인 어떤 이득을 얻으려 하는 것도 아니면서, 왜 거짓을 의도적으로 생산해 내는 매체의 채널에 빠져 거짓말을 그저 믿어 버리는 것일까. 마치 사이비 교주의 말씀을 의심 없이, 무조건, 절대적으로 믿어 버리는 신자들의 연유와 크게 다르지 않을지도 모르겠다.

살아온 환경과 경험, 거기에서 비롯한 불안, 결핍, 소외감의 발로일까. ‘보고 싶은 대로 보고 믿고 싶은 것만 믿는’ 덫에 걸린 사람들의 깊은 속마음에는 무엇이 질기게 자리를 잡고 있을까. 또 주장하는 말들이 거짓이고 과장이고 왜곡인 줄 알면서도 짐짓 외로움과 소외감 때문에 그들의 모둠에서 용기 있게 빠져나오지 못하고 있지는 않을까. 오늘도 거짓말을 믿고자 하는 자의 슬픔이 우리 곁에 있다.
2019-10-01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