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사는가, 늘 점검하지 않는
부끄러움 모르는 사람들
자녀에게 권할 수 없는 욕망은
내려놓는 게 상식이다
![법인 실상사 작은학교 교사](https://img.seoul.co.kr/img/upload/2020/03/16/SSI_20200316183500_O2.jpg)
![법인 실상사 작은학교 교사](https://img.seoul.co.kr//img/upload/2020/03/16/SSI_20200316183500.jpg)
법인 실상사 작은학교 교사
모든 분야에서 존재의 이유, 행위의 이유를 묻는 일은 곧 정체성의 확인이다. 이런 것들이다. “당신은 왜 교사가 되셨습니까”, 혹은 “당신은 왜 교육대학에서 공부를 하고 계십니까.” 이런 질문은 교사가 되려는, 이미 교사인 사람들에게는 그들 삶의 방향과 바탕을 점검하는 일이다. 정체성을 확인하는 물음이다. 그래서 우리가 살아가면서 수시로 이런 근본적인 물음을 물어야 하는 까닭은 분명하다. 질문이라는 죽비를 통해 본질에서 이탈하려는 자기를 회복하고 타락을 막고자 함이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의 신도시 투기 의혹으로 전 국민이 공분하고 있다. 대명천지에 아직도 부정과 편법과 반칙이 교묘히 행해지는 현실이 참 슬프다. 여기서 ‘슬프다’는 표현은 ‘나쁘다’는 말보다 가혹한 선언이다. 연일 언론에 부정의 사례와 방법이 알려지고, 이어 정치권의 공방을 지켜보면서 매우 상식적인 물음이 떠오른다.
“먹고살 만한 사람들이 왜 그래?” 회사 이름에 공사라는 말이 있는 것을 보면 공기업인 모양인데, 그렇다면 이렇게 묻고 싶은 사람들이 있을 것이다. 또 상식적인 질문 하나가 있다. 그들은 자신들이 저지른 반칙이 드러나지 않을 것이라는 확고한 믿음을 가지고 있는지를 묻고 싶다. 그동안 곳곳에서 부정과 반칙이 드러나 하루아침에 신세를 망치는 사례를 숱하고 봤을 터인데 말이다.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03/29/SSI_20210329202652_O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03/29/SSI_20210329202652.jpg)
나는 이런 글을 쓴 사람과 같은 생각을 하고 있는 사람들이 적지 않을 것이라고 짐작한다. 그래서 거듭 슬프고 불쌍하다. 정말 궁금해서 그들에게 묻고 싶다. 그런 글을 쓴 당신은 안정적인 직장에 들어가 편법으로 더 많이 해먹자고 그리 기를 쓰고 공부한 것인지를. 상식적으로 질문하면 오류가 드러난다. 그래서 그에게 묻는다. 만약 당신의 자녀가 그 글을 보면 어떤 말을 할까? 아니 자녀들에게 자랑하고 권유할 만큼 당신의 그런 생각과 태도는 당당한가? 또 자녀들에게도 그리 살기 위해 공부하고, 그리 사는 것이 능력이라고 말할 수 있는가? 슬픈 심정으로 독백한다. 이런 편법을 쓰고 이런 편법을 변명하는 지금 모습이 구차하지 않은가? 당신은 앞으로도 계속 오만한 정신승리법으로 세상에 대해 변명하며 살고 싶은가?
상식적 질문에 상식적인 답. 그 길만이 살길이다.
2021-03-30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