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희곤 한림국제대학원 교수
그러나 양적으로 성장한 한국관광 산업은 많은 문제를 안고 있다. 경쟁 환경에도 변화의 조짐이 일고 있다.
우선 중국과 일본 관광객 편중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연초부터 한국보다 일본을 방문하는 중국인 관광객 수가 더 많아지는 역전 현상을 보이기 시작했다.
또 저가 관광객 유치로 인해 관광객들의 한국에 대한 이미지나 만족도가 떨어지고 있다. 뿐만 아니라 중국 하이난섬과 상하이는 물론 일본과 대만도 면세점 사업 확장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는 경쟁 상황도 중요한 변수로 부상했다.
한마디로 한국 관광산업은 어느 정도 양적 성장은 달성했으나 질적 성장은 미흡한 가운데 경쟁은 격화되고 있는 것이다.
우리나라 면세점 사업은 8조 2000억원으로 세계 최대 규모다. 면세점은 사업 자체의 성장성은 물론 관광과 연계한 발전 가능성 등의 측면에서 유망 성장동력 산업으로 대두하고 있다.
따라서 면세점 사업자 신규 선정은 한국 관광산업이 한 단계 도약하는 계기로 활용돼야 한다. 이를 위해 신규 면세업자를 선정할 때 다음 사항들이 고려돼야 한다.
첫째, 지역 특성을 살린 콘텐츠와 신규 관광지 개발이 함께 추진돼야 한다. 신규 면세점은 새로운 관광 루트 개발에 기여하고 한류 공연, K뷰티 등 경쟁력 있는 소프트 콘텐츠와 연계해 추진돼야 할 것이다. 지역의 강점을 극대화할 수 있는 지역특화 상품 개발, 주변 인프라를 활용한 관광 루트 개발로 지역상권 활성화 등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어야 한다.
둘째, 면세점 시설의 도심형 복합 리조트를 지향해야 할 것이다. 면세점 시설이 단순한 매장 수준에서 벗어나 리조트화한 현대적 유통 공간으로 탈바꿈함으로써 체류형 관광객 유치에 기여해야 한다.
셋째, 국내 브랜드의 세계 진출에 기여할 수 있어야 한다. MCM, 정관장 등 한국산 브랜드 성공 사례에서 보듯이 국내 면세점이 가지고 있는 신뢰도를 활용해 국내 중소기업 브랜드의 세계화에 기여해야 할 것이다.
넷째, 국제 면세업체와의 경쟁을 고려할 때 국내 면세업계의 대형화·글로벌화는 불가피하다. 면세점 사업도 고도의 유통 마케팅 역량 배양과 고객 관계 관리능력이 경쟁력의 핵심이 될 것이다.
한국 관광은 고부가가치형 패러다임으로의 전환이 절실히 필요한 시점이다. 단순 관광객 수 달성 위주의 양적 성장이 아닌 실질적 관광 수용력 확대와 차별적 콘텐츠 개발을 통해 체류형, 문화와 레저 중심의 관광 패턴에 맞는 체계로 정비돼야 한다.
면세점 사업의 확장은 대외적 신뢰성 확보, 새로운 사업 기회 창출로 한국 관광의 당면 과제를 풀 수 있는 중요한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다.
면세점 사업이 한국 관광의 새로운 이정표를 세우는 일익을 담당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2015-07-08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