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행복도시, 공공건축에 가치를 담다/김진숙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장

[기고] 행복도시, 공공건축에 가치를 담다/김진숙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장

입력 2019-07-08 17:44
업데이트 2019-07-09 02:5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김진숙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장
김진숙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장
개인이 지향하는 가치가 변하듯 사회의 가치도 변한다. 언젠가부터 우리 사회에선 물질적 가치가 중시되면서 인간의 보편적 가치가 점차 소외되고, 이로 인해 세대·계층 간 갈등도 커지고 있다. 최근에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추구해야 할 가치가 무엇인지에 대한 사회적 고민도 깊어지고 있다. 최근 우리 정부나 기업에서 ‘사회적 가치’가 주목받고 있다. 사회적 가치란 사회·경제·환경·문화 등에서 공익에 기여할 수 있는 가치다. 사회적 가치가 최근 강조되는 것은 우리 사회가 이윤과 효율이 아니라 사람의 가치, 공동체의 가치를 지향하는 사회로 바뀌어야 할 때가 됐기 때문이다.

미국의 도시계획가 페리는 근린주구 이론에서 어린이가 큰길을 건너지 않고 걸어서 초등학교에 갈 수 있는 거리인 400m를 근린주구의 반경으로 설정했다. 눈여겨볼 점은 사회적 약자인 어린이를 기준으로 이상적인 주거 단지를 설정했다는 것이다. 국가균형발전을 위해 건설되고 있는 행복도시는 공공시설 등에 ‘공동체 복원’과 ‘사회적 약자 지원’이라는 가치를 담고 있다. 포용도시와도 일맥상통하는 이 가치들은 시민들이 쉽게 접하고 체감할 수 있는 공공시설에 잘 녹아 있다.

‘공동체 복원’이라는 가치가 잘 반영된 대표 공공시설은 복합커뮤니티센터다. 복합커뮤니티센터는 주민센터, 도서관, 체육관, 문화시설 등 여러 용도의 시설을 하나의 건물에 모두 넣는다. 그리고 유치원, 학교, 공원 등을 복합커뮤니티센터 가까이 배치해 다른 목적을 가진 주민들이 서로 같은 공간에서 만날 수 있게 한다. 공공건축이 공동체 복원 장으로서의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다른 중요 가치인 ‘사회적 약자의 배려’가 투영된 건축물은 광역복지지원센터다. 광역복지지원센터는 여성, 어린이, 장애인, 노인 등 사회적 약자를 위한 전문복지시설이다. 현재 행복도시 6개 생활권에 1곳씩 건립되고 있다. 최근 세종시 반곡동 광역복지지원센터 설계 공모 당선작인 ‘어울림’의 경우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만남이라는 주제로 사회적 약자뿐 아니라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하는 시설로 설계한 점이 이채롭다. 또 행복도시는 건설 초기부터 ‘무장애’ 도시를 표방해 장애인을 비롯해 사회적 약자를 배려하고 있다. 최근 사람 중심의 생활환경을 만드는 지역밀착형 ‘생활 사회간접자본(SOC)’ 인프라에 복합커뮤니티센터와 광역복지지원센터 등이 지정됐다. 삶의 소중한 가치를 담은 세종시 공공시설이 모범이 돼 우리나라 건축물이 한층 더 발전하길 기대해 본다.

2019-07-09 3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