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정림 드라마 작가
시간이 가져가 버린 것들이 슬프다. 한때 찬란했던 젊음도, 눈부셨던 아름다움도, 황홀했던 사랑도 시간이 거둬 간다. 뜨겁던 꿈도, 치열했던 의지도 시간이 데려간다. 흘러가 버린 시간은 형체가 없어서 만질 수도 볼 수도 없다. 그래서 남은 게 아무것도 없는 것처럼 느껴진다.
하지만 정말 시간은 사라지고 없는 것일까. 그렇다면 그 시간 속에 스민 기억은 뭘까. 기억된다는 것은 뭐고 잊힌다는 것은 뭘까.
잊힌다는 것의 의미를 나는 알지 못했다. 그러나 이제 망각의 공포가 뭔지 알 것 같다. 어머니가 나를 기억하지 못하셨을 때, 사랑이 가득 담긴 눈으로 나를 보던 어머니 눈빛이 텅 비어 버렸음을 보았을 때, 어머니 마음에 내 존재가 지워져 버렸음을 알았을 때 나는 극도의 두려움을 느꼈다. 내 삶의 중요한 역사가 사라져 버린 것 같아 어머니를 붙잡고 울었다. 물망초 꽃말처럼 ‘나를 잊지 말아 달라’는, 이 세상에서 가장 애절한 부탁을 하면서….
프랑스 화가이면서 시인인 마리 로랑생은 시를 썼다. 세상에서 가장 가엾은 사람은 잊힌 여인이라고. 그 어떤 불행과 슬픔보다, 죽음보다도 잊히는 것을 더 두려워했던 마리는 피카소의 소개로 시인인 기욤 아폴리네르를 만났다. 두 사람은 사생아라는 공통점 때문인지 만나자마자 사랑에 빠졌다.
아폴리네르를 사랑하던 시기에 마리는 가장 뛰어난 그림을 그렸다. 아폴리네르 역시 그 시기에 최고의 시를 쏟아냈다. 그러나 예술의 절정에 있을 때, 강 하나를 사이에 두고 살던 두 사람은 결별해야 했다. 사랑을 잃어버린 후 집으로 돌아오기 위해 다리를 건너던 아폴리네르는 다리에 멈춰 서서 ‘미라보 다리’를 썼다.
‘나날은 흘러가고 달도 흐르고/지나간 세월도 흘러만 간다//우리의 사랑은 가서는 오지 않고/미라보 다리 아래 센강만 흐른다’
이별 후에도 더욱 사랑했지만 그들은 다시 만날 수 없었고, 마리는 죽기 직전 유언을 남겼다. “하얀 드레스를 입혀 주세요. 그리고 빨간 장미와 아폴리네르의 편지를 가슴에 올려 주세요.”
잊히는 것을 두려워했던 그녀는 스스로 잊지 않음을 선택해 죽는 순간까지 사랑을 간직했다. 기억할수록 더 외로웠겠지만, 기억이 아파서 심장 쪽을 부여잡고 우는 날이 많았겠지만 그래도 끝까지 잊지 않았다. 애틋했던 사랑도 치열했던 인생도 기억하지 않으면 사라진다. 시간은 기억이 없으면 존재하지 않으므로.
그러니 기억하고 아파할까, 잊고 편해질까? 둘 중 하나를 택하라면 나 역시 아파도 기억하겠다. 그러지 않으면 사랑한 시간도, 살아 낸 시간도 허망하니까. 다른 이의 마음은 내가 어쩔 수 없고 내 인생 역시 나만이 알 수 있으니 내가 기억하고 기념하면 되지 않을까. 내 사랑이, 내 인생이 잊힐 거라고 두려워하기보다 내가 간직하면 되지 않을까. 내가 잊지 않는다면, 그렇다면 이별한 게 아니다. 시간이 그렇게 허망한 것도 아니다. 사라지는 게 아니라 간직되는 것일 테니까…. 시간 속에 기억이 새겨지는 한 이별도 사랑의 끝이 아니고 죽음도 인생의 끝이 아니다.
그래서 나는 두렵다. 마리 로랑생은 잊히는 것을 두려워했지만 나는 잊을까 봐 두렵다.
시간이 흐른다. 시간 속에 우리는 어떤 순간을 기억 속에 새겨 갈까. 또 어떤 순간을 잊어 갈까. 최선을 다해 사랑하고 살아가기를. 그 사랑, 그 삶을, 최선을 다해 잊지 말기를.
2019-11-07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