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나욱 건축가·작가
설계는 말마따나 사람들의 행동을 예측하고 계획하는 것을 의미하지만, 막상 설계자 뜻대로 이뤄지는 경우는 희박하다. 기껏 하기 좋도록 만들어 놓은 건 하지 않고, 하지 말라고 막아 두면 어떻게든 하고 마는 것이 사용자의 이치인가 싶다. 실제로 온갖 비난에 직면하던 시설이 예상치 못한 이용으로 각광을 받는다거나, 도시에 활력을 불어넣겠다고 계획한 공공 건축이 슬럼이 되는 모습을 여기저기에서 마주하곤 한다. 건축을 소재로 하는 소설 ‘파운틴헤드’에서 천재 건축가 하워드 로크는 지어지는 건물이 자신의 계획과 다르다며 폭파를 감행하는데, 아이러니하게도 이 장면이야말로 가장 건축적이지 못하다고 할 수 있다.
지난해 가장 화제가 된 건축물이자 얼마 전 착공을 시작한 ‘미러라인’이 1300조원 규모의 건축비와 어마어마한 청사진에 대비되는 비판을 받는 까닭 또한 ‘그렇게 될 리 없기 때문’이다. 어차피 그리 되지 않을 테니 그때를 대비하고 감당하는 것이 오늘날의 미덕이다. 한때 대도시가 생겨나고 건축이 최고 호황을 누릴 즈음 완벽한 시공간을 꿈꾸며 다양한 설계들이 등장했으나 이 모두는 그 시절 이상으로만 남아 있다. 아직도 한 가지 비전만 주장하는 이가 있다면 이는 삶과 도시 전체를 돌아본다기보다는 일순간을 위한 정치에 불과할 따름이다.
‘건축이 사람을 만든다’는 필연성을 기조로 하는 시대가 지나 오늘날 현대건축은 우연성과 예외성을 중시한다. ‘내 뜻대로 될 리 없다’는 한계를 인지한 채 설계에 다가간다. 이제는 계획을 하는 단계에서부터 이 사실을 염두에 둔다. 유연한 공간을 조직하는 일본 건축가 그룹 사나(SANAA)의 도면에 엄격하게 맞춰진 가구 대신 자리를 이탈한 의자와 노른자가 터진 달걀 프라이가 그려져 있는 건 그래서다. 완벽한 것을 목표해 이를 통제하려 하기보다는 애초부터 실수와 실패를 상상하고 익숙해하려 한다.
필연과 우연에 대해 평생을 고민해 온 체코 소설가 밀란 쿤데라의 말을 여기 빌릴 수 있을까. “실수로 일어난 일들 역시도 이유와 필연에 의해 생겨난 일들도 마찬가지로 실제적이라는 것을 느낀다.” 난간에 올라타 뛰어다녀도, 달걀 노른자가 깨졌더라도 그것은 더이상 틀린 일이 아니다. 현대건축은 교과서적이거나 겉보기 그럴싸한 비전에 얽매이기보다 돌발적인 사건 사고와 실수, 우연을 포용한다.
새해 계획을 하나하나 세우면서 지난해를 돌이켜본다. 하워드 로크였다면 폭파할 일투성이인 삶. 그렇지만 예상 못한 사건이 또 다른 계획으로 이어지고, 버티고 견딘 불행으로부터 상상 못한 가치를 발견한다. 그림대로 지어지는 삶도 좋지만, 예상 못한 구석에서 즐거움을 얻을 수 있다는 걸 깨달아 간다. 그러니 새해를 채우는 또 다른 필연과 우연을 기대하면서, 새해라는 난간 위에 걸터앉아 보면서.
2023-01-12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