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베란다 난간에 넌 빨래로 생긴 주민 갈등을 보도한 기사(경향신문 1976년 8월 24일자).
효자 노릇 하겠다는 아들 집으로 올라온 시골 노인에게 처음 생활하는 아파트는 예나 지금이나 감옥이나 다름없다. 갈 곳이 없어 아파트 시멘트 바닥에 우두커니 앉은 노인의 모습을 흔히 볼 수 있었던 때였다. 이사는 큰 문제였다. 엘리베이터가 없는 저층 아파트는 짐을 들거나 져다 날라야 했다. 고층 아파트는 엘리베이터가 있었지만 무거운 짐은 역시 계단으로 옮겨야 했는데, 피아노나 자개농 같은 귀한 가구들이 긁히고 파이는 일이 이사 때마다 있었다.
처음부터 아파트에 산 아이들에게 웃지 못할 일도 있었다. 양변기에서 일을 보던 아이가 학교의 재래식 변소를 이용하지 못해 옷에다 용변을 봤다. 마당이 없는 아파트에서는 빨래 널기가 보통 문제가 아니었다. 이불 같은 큰 빨래를 베란다 난간에 걸어 말리다 물이 뚝뚝 떨어져 위아래층 주민이 다투는 일이 비일비재했다. 입주자 지침서에는 ‘베란다에 빨래를 널지 마시오’라는 글이 씌어 있었다. 광(창고)이 없었으므로 잡동사니들은 모두 버려야 했다. 간장독, 된장독을 들고 와 베란다에 놓아 둔 가정을 흔히 볼 수 있었다. 서민 아파트는 벽이 두껍지 않아 피아노를 칠 수도 없었고, 상이 나도 곡(哭)을 할 수 없었다. 부부싸움도 옆집에 들릴까봐 참아야 했다.
어떤 작가가 ‘맨션아파트’에 사는 친구 집에 놀러 가서 허탈한 광경을 목격했다. 그 집 달걀껍질에 ‘맨션 달걀’이라는 도장이 찍혀 있더라는 것이다. 물론 보통 달걀과 똑같은 것이었지만 허세를 부리는 부자들을 노린 상혼이었다(동아일보 1971년 10월 9일자).
서울 반포아파트가 단지 안에 초등학교 문을 연 것은 1974년이었다. 이 학교에 이웃 M초등학교 학생 344명을 편입시켜 개교했다. 문제는 그다음이었다. M초등학교 학생들의 가정은 대체로 어려웠다. 그 학교가 있던 동네는 일용직 근로자들이 많이 살고 강변이라 ‘갯마을’이라 불리었다. 두 학교 학생들을 합치다 보니 마찰이 생겼다. 반포아파트에 사는 학생들이 이웃 학교에서 전입해 온 학생들을 놀리고 따돌리고 윽박지른 것이다(동아일보 1974년 5월 29일자).
2019-05-27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