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협정 비준에 반대해 벌어진 일본 제품 불매운동에 관한 기사(동아일보 1965년 6월 29일자).
1965년 한일협정 비준에 반대하던 대학생들은 시위, 서명운동과 함께 불매운동에도 앞장섰다. 일본 제품들을 모아 놓고 불을 지르는 ‘화형식’을 여는 등 반일 시위는 격렬했다. 연세대생 300여명은 일본을 비난하는 단식 농성을 벌여 8명이 졸도하기도 했다. 대한기독교어머니회가 이에 호응해 일제 불매운동 100만명 서명운동에도 나서는 등 여성들도 기꺼이 동참했다. 그러나 일부 상인들과 소비자들이 불매운동을 외면한다는 비난도 쏟아졌다. 경찰이 불매운동에 맞춰 미도파와 신세계 등 백화점과 남대문시장을 뒤져 일제 상품의 관세법 위반 여부를 수사한 것은 특기할 만한 일이었다(동아일보 1965년 7월 2일자).
1974년 다나카 가쿠에이 전 일본 총리가 일제의 한반도 통치를 미화하는 망언을 하자 10개 여성단체는 일본 제품 불매운동에 나섰다(동아일보 1974년 2월 28일자). 그해 8월에도 일제 불매운동이 전국적으로 일어났는데 육영수 여사 저격 사건에 대한 일본 측의 무성의한 수사 태도 때문이었다. 상인들은 물론 남녀 고교생, 불교단체, 유림 등 각계각층에서 참여해 “일본 제품을 팔지도 말고 사지도 말자”며 일본을 성토했다(매일경제 1974년 8월 27일자). 1976년에는 일본의 한국산 비단제품 수입 규제를 비난하는 일제 불매운동이 벌어졌다. 종교인들도 “100마디 항의보다 한 가지 행동이 낫다”며 불매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1996년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 망언이 나온 뒤에도 불매운동이 이어졌다. 한국기독교청년회(YMCA)는 극일 기간을 정해 일본 제품 안 사기, 일본 영화와 위성 텔레비전 안 보기 운동을 벌였다. ‘극일운동시민연합’이 결성되기도 했으며 한 슈퍼마켓에서는 일본산 본드, 수정액, 트럼프, 담배까지 팔지 않겠다고 모두 치워 버렸다(경향신문 1996년 2월 14일자).
손성진 논설고문 sonsj@seoul.co.kr
2019-08-05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