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 탐구] 북청 물장수를 다시 찾을 순 없지 않나/이민호 경희대 환경공학과 교수

[환경 탐구] 북청 물장수를 다시 찾을 순 없지 않나/이민호 경희대 환경공학과 교수

입력 2019-07-29 18:02
수정 2019-07-30 00:1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이민호 경희대 환경공학과 교수
이민호 경희대 환경공학과 교수
우리나라에서 ‘북청 물장수’로 상징되던 물 배달 시스템이 상수도로 바뀌기 시작한 건 1908년 서울 뚝섬에 정수장이 건설된 뒤부터다.

서양에 비해서는 짧은 역사지만, 그래도 우리나라의 수도 보급률이 99%를 넘어섰다. 정수장 수만 483개에 달한다. 그동안 우리는 수돗물 품질에 대해 나름 자부심이 있었다. 서울의 ‘아리수’, 한국수자원공사의 ‘K-water’처럼 물에 브랜드를 붙일 정도였다.

지난달 인천에서 발생한 붉은 수돗물 사태를 보면서 많은 국민이 경악했다. 우리나라의 수돗물 관리 수준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서울·평택·안산 등 전국에서 유사한 신고가 이어졌다. 정부가 지원단까지 구성했지만 정상화는 요원하다. 그 물을 마시고 그 물로 씻고 빨래하는 주민들의 불안한 심정이 오죽할까.

수도는 강이나 호수에서 원수를 채수해 정수장에서 물을 맑게 한 뒤 수도관으로 배수(配水)해 각 가정에 제공한다. 아파트는 자체 물탱크를 거쳐 각 가구에 공급된다. 전문기관이 관리하는 취수와 정수 단계에서 문제가 생길 가능성은 많이 줄었다. 인천의 붉은 수돗물은 원수를 공급받는 수계를 변경하는 과정에서 무리하게 수압을 높여 수도관 침전물이 떨어져 나온 것이 원인이다. 부실한 관리가 문제였다. 최첨단 시설과 설비를 갖춰도 원칙에 충실한 관리가 뒷받침되지 않으면 ‘사상누각’이 된다는 사실을 다시 한번 확인했다.

땅속에 묻혀 있는 노후 수도관이 걱정이다. 서울만 해도 내구연한 30년이 넘은 수도관이 31.5%에 이른다. 공동주택은 물탱크를 규정대로 관리하지 않으면 오염의 원천이 된다. 옥내 배관이라 불리는 집안 수도관은 주철관이 사용됐는데 녹이 많이 슨다. 내가 살고 있는 아파트도 온수를 틀면 설핏 색깔이 비치는 물이 나온다.

깨끗하고 안전한 수돗물 공급은 자치단체장의 책무다. 그동안 눈에 보이는 치적 사업만 챙기다가 기초 인프라인 상수도 관리를 등한시한 게 아닌지 성찰해 봤으면 한다. 시민들이 다시 ‘북청 물장수’를 찾는 일은 없어야 하지 않겠나. 수도 관리자가 ‘한직’이라는 인식도 바뀌어야 한다. 전문성을 갖춘 인력을 배치하고 제대로 대우하는 것이 필요하다. 2017년 기준 전국 평균 수돗물값은 원가의 80.5%에 불과하다. 수돗물값 현실화도 공론의 장에 올리자는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야 할 때다.
2019-07-30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