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태안 서울 가스트로투어 대표
얼마 전 방송에서 한 외국 유명인이 한국의 ‘굴국밥’을 찬양하는 모습을 보았다. 자신이 살았던 유럽은 굴이 너무 비싸 한국에서 몇천 원 하는 굴국밥을 자기 나라에서 사 먹으려면 몇만 원은 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 말에 1990년대 후반 유학 시절이 떠올랐다. 현장 학습 날 전교생이(나는 호텔학교를 졸업했다)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가스트로노미’ 축제에 참가했다.
호텔, 조리, 와인, 치즈, 레스토랑, 커피 등 관광과 관련된 모든 분야의 개인·기업에서 부스를 차려 다양한 식자재 및 식가공품, 제품들을 선보이고, 어떤 곳은 즉석에서 음식도 판매했던 유럽에서 가장 큰 ‘음식박람회’다. 그곳에서 단연 사람들의 주목을 끌던 곳이 있었다. 프랑스산 굴 행사장 한가운데 차려진 고급 라운지였다. 잘 차려입은 신사, 숙녀들이 한 손에는 샴페인, 또 다른 손에는 석화를 들고 즐기며 분위기를 압도했다. 내게는 마냥 친숙한 굴이었다. 한겨울 온가족이 굴과 함께했던 많은 시간들이 주마등처럼 지나갔다. 겨울 초입 가족과 함께했던 김장 날 풍경들, 알이 큰 굴 하나를 방금 만든 겉절이에 돌돌 말아 식구들 입에 넣어 주시던 어머니. 참을 수 없었다.
미식을 즐기는 유럽인들 사이에서 교복 입은 동양인 여학생은 주목을 받기에 충분했다. 나는 주위 이목에 아랑곳 않고 굴을 거침없이 해치웠다. 샴페인 한 모금도 없이. 한입에 꿀꺽 넣자마자 알알이 잘려지는 굴의 부드럽고 신선한 촉감을 지금도 잊을 수 없다. 주변의 사람들이 소리 없이 내게 외쳤다. “네가 진정 굴 맛을 알고 있잖니.”
두 번째 접시를 즐길 때쯤 라운지 매니저와 이런저런 얘기를 나누게 됐다. 물가가 비쌌던 스위스뿐만 아니라 유럽에서는 굴이 정말 비싸고 귀한 음식이라는 것. 한국에서는 굴과 함께 온 겨울을 지내고 굴로 만든 다양한 음식들도 많다는 것. 그래, 우리는 그 귀한 굴로 전도 만들고, 김치에 싸서도 먹고, 탕으로 먹고 무와 함께 생으로 무쳐서도 먹는다고 하니 라운지 매니저는 정말 우리나라가 부럽다고 했다.
그들에겐 미식이지만 나에게는 없어서는 안 될 겨울의 동반자였던 굴 덕택에 그날 이후 거의 한 달 동안 학교 카페테리아를 방문할 수 없었다. 한 달 생활비를 모두 굴 두 접시에 털어 버린 나는 몹시 가난한 한 달을 보냈지만 타향에서 굴과 함께했던 그날을 아직도 즐거운 추억으로 간직하고 있다.
우리가 흔하게 먹고 있는 식자재에 감사해야 한다는 그 외국인 말에 진심으로 공감했다. 그리고 먼 훗날에도 지금처럼 계절마다 즐길 수 있는 다양한 식재료가 우리 땅에서 풍부하게 수확되길 기원해 본다. 점점 변하는 지구의 기후와 환경으로 생산량과 품질이 예전 같지 않다는 평도 있지만 아직도 굴은 날것으로 즐길 수 있는 기쁜 바다 음식이다. 이번 주말에 굴보쌈이든 굴전이든 알 큰 남해의 굴, 알은 작아도 솜털이 송송한 서해안 어리굴로 양념 무쳐 즐겨 보자.
2018-01-20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