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희선 서울시 도시재생본부장
서울숲은 당초 61만㎡ 규모로 계획됐지만 삼표레미콘공장 이전 등이 불발되면서 약 43만㎡만이 공원으로 조성돼 지금도 미완의 상태로 남아 있다. 이에 서울시는 2015년부터 레미콘공장 이전을 추진했고 2년 만인 작년 10월 삼표 측과 2022년까지 공장을 이전하기로 확약했다. 지난달 29일 서울시가 발표한 ‘서울숲 기본구상 및 민관협력사업’은 레미콘공장 활용과 서울숲을 완성하자는 취지에서 시작됐다. 서울숲 빈 공간을 채우기 위해 ‘도시민이 필요로 하는 것이 무엇일까’라는 질문에 대한 답은 ‘자연’과 ‘생태’였다. 기술 발전으로 우리 생활은 전보다 훨씬 편리해졌지만 여전히 현대인은 삭막한 콘크리트 도시 속에서 초록의 숲, 자연을 갈망한다. 서울숲 빈 공간이 공원이 되는 것은 당연한 결과이고 시민이 가장 원하는 것도 ‘온전한 서울숲의 완성’일 것이다.
서울숲 완성뿐 아니라 시민을 위한 시설을 만들어 서울숲을 활성화하고자 한다. 이 시설들은 당연히 지역 특성을 반영해야 한다. 성수동은 대한민국 산업화의 살아 있는 역사다. 이러한 역사성을 살려 대한민국 산업의 과거와 현재, 미래를 보여주는 과학문화미래관을 건립하기로 했다. 과학문화미래관은 성수동의 산업 생태계를 보전하고 전시하는 산업박물관과 미래세대들이 과학을 배우고 체험할 수 있는 미래과학체험관으로 구성된다. 사색과 독서를 즐길 수 있는 숲속 도서관 조성도 검토하고 있다.
지금의 서울숲은 도로로 나뉘어져 지하철역에서도 걸어서 오기가 쉽지 않다. 나눠진 공원을 통합하고, 지하철역과 연결해 도시와 하나 된 공간이 되면 누구나 찾고 싶은 세계적 공원이 될 것이다.
이번 계획은 서울숲만을 대상으로 하는 게 아니라 서울시 전체 차원의 프로젝트의 시작이다. 한강은 서울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지만 서울을 남북으로 단절시킨다. 잠실, 용산, 마곡 등 한강변에서 다양한 사업이 진행되고 있지만 이 또한 한강의 남북을 연결하지는 못한다. 그동안 한강을 개발 측면에서 봤었다면 이제는 개발이 아닌 도시재생 측면에서 한강 중심의 공간 개편이 필요하다. 또한 서울시를 도심권, 서북권, 동북권, 서남권, 동남권 등 5대 권역으로 나누는데 한강도 이 5대 권역처럼 한강권역으로 설정해 계획하고 관리해야 한다. 서울숲을 ‘한강 중심 공간 재편’ 사업의 시작으로 보고, 강남 지역과 연계해 한강 중심 도시재생 모델로 만들고자 한다. 자연과 생태가 어우러져 1000만 인구를 품는 한강 중심의 도시, 천년고도 서울의 새로운 모습을 기대해 본다.
2018-04-11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