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치광장] 공공도서관 변화와 혁신이 답이다/김영종 서울 종로구청장

[자치광장] 공공도서관 변화와 혁신이 답이다/김영종 서울 종로구청장

입력 2019-04-14 22:36
업데이트 2019-04-15 03:0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김영종 서울 종로구청장
김영종 서울 종로구청장
“지금의 나를 만든 것은 하버드대학도 아니고 미국이라는 나라도 아니고 내 어머니도 아니다. 내가 살던 마을의 작은 공립 도서관이 오늘의 나를 만들었다.”

마이크로소프트(MS) 창업자 빌 게이츠의 말이다. 성공한 사람들은 너 나 할 것 없이 이처럼 독서의 중요성을 강조했고 도서관에서 꿈을 키웠다.

지난 1월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발표에 따르면 공공도서관 1곳당 방문자 수는 2013년 33만여명에서 2017년 26만여명으로 감소했고, 도서관 1곳당 대출도서 수도 15만여권에서 12만여권으로 줄었다. 스마트폰 대중화 등 때문일 수도 있지만 수요자 요구에 대응하지 못한 탓도 있을 것이다. 도서관이 교육·문화 욕구를 충족시킬 창의 공간으로 변화할 때라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이런 분위기 속에 지난해 12월 미 일간지 뉴욕타임스에 ‘삼청공원 숲속도서관’에 관한 칼럼이 게재된 바 있다. ‘혁신에 대한 집착을 끝내다’라는 제목의 칼럼은 “현대적인 도시 중 하나인 이곳 서울의 도심에서 숲이 주는 풍경을 만끽하고 누구나 쉬어갈 수 있도록 설계된 삼청도서관이야말로 21세기 사회가 궁극적으로 추구해야 할 ‘사람 중심의 미래’에 중점을 둔 혁신”이라고 평했다.

종로구는 삼청공원 숲속도서관 외에도 민선 5기부터 지금까지 ‘걸어서 5~10분 거리, 생활밀착형 도서관 만들기’라는 비전을 갖고 작은 공공 도서관을 만들고 있다. 성균관이 있던 명륜동에는 ‘어린이청소년 국학도서관’을 지었다. 인왕산의 아름다운 풍광 속에 자리잡은 한옥도서관인 ‘청운문학도서관’은 인근 윤동주문학관과 연계해 문학특화 도서관으로 운영되고 있다. 국악 중심지인 익선동에는 우리 소리를 가까이 느낄 수 있는 ‘우리소리도서관’을 지은 바 있다.

주목해야 할 점은 종로구 내 도서관들은 이용자 수가 최근 추세와 달리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다. 앞으로도 주민들이 가까운 거리에서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언론도서관이나 체육도서관과 같은 특화 도서관 건립을 이어갈 계획이다.

도서관은 양적 확장도 중요하지만 지역 특성과 정체성을 담아내야 한다. 공공도서관은 특색과 매력이 있는 인간 중심의 공간으로 변화와 혁신이 필요한 때다.
2019-04-15 2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