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 자동차가 도입된 지 115년이 됐다. 국내 최초의 자동차는 고종 황제 즉위 40주년을 기념해 ‘어차’로 들여온 포드 승용차였다. 그로부터 1년여 후 ‘오리이 자동차 상회’라는 회사가 전국 9개 노선에서 자동차 영업을 시작했다. 이때 검은색 철판에 도시 이름과 숫자를 흰 글씨로 쓴 번호판을 부착했는데 이것이 바로 우리나라 자동차 번호판의 시초다.
1903년 1대뿐이었던 자동차는 꾸준히 늘어 2018년 말 현재 2300만여대에 달한다. 우리나라 국민 두 명 중 한 명꼴로 자동차를 보유하고 있는 셈이다.
특히 최근 10년간 국내 연평균 승용차 증가율은 4.1%로 같은 기간 인구증가율(0.49%)의 8배가 넘는다. 이는 국민생활 수준의 향상과 함께 1인 가구의 증가 등 우리나라의 사회적·경제적 변화가 반영된 결과일 것이다. 이 같은 승용차 증가 추세와 함께 친환경차, 자율주행차 등 새로운 교통수단의 등장으로 앞으로 훨씬 더 많은 등록번호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정부는 현재 포화 상태에 이른 등록번호 용량을 획기적으로 늘리는 동시에 자동차 번호판을 더 알아보기 쉽고 보다 세련된 디자인으로 변경하고자 한다.
올해 상반기에는 전문가 검토와 공청회, 온·오프라인 국민 의견수렴과 여론조사를 통해 ‘숫자 한 자리 추가’로 승용차 등록번호 체계 개선안을 확정했다. 예를 들어 현재 번호판 체계가 ‘12가1234’라면 숫자 한 자리가 추가돼 ‘123가1234’가 되는 것이다.
숫자 조합에 따라 약 2억개의 신규 번호 생성이 가능하게 돼 새로운 차종의 출현이나 남북통일과 같은 미래 교통환경 변화에도 문제없이 대응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새로운 번호 체계는 내년 9월부터 등록하는 승용차부터 적용될 예정이다.
한편 이번 번호판 개편과 함께 다양한 색채와 디자인을 적용할 수 있는 ‘반사필름 부착식’ 번호판을 도입하는 방안도 새로운 큰 변화라 할 수 있다. ‘반사필름 부착식’ 번호판은 현재 사용 중인 페인트식보다 야간에 번호판을 쉽게 알아볼 수 있고 안전사고 예방에도 효과적이다.
또한 필름에 국가를 상징하는 문양을 넣거나 번호판 위·변조 방지를 위한 홀로그램 등을 삽입하면 보다 더 다양한 기능도 확보할 수 있다. 지난 4월 실시한 국민 선호도 조사 결과에서도 반사필름식 번호판을 좀더 선호(53%)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미 대부분의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에서는 ‘반사필름 부착식’ 번호판을 사용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2016년부터 전기자동차 번호판에 도입한 바 있다.
현재는 여러 디자인 안에 대한 2차 선호도 조사를 진행 중이다. 올 연말까지 최종안을 확정해 번호판 개편을 완료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내년에 경찰청, 교통안전공단 등 공공기관이 새로운 번호판을 인식할 수 있도록 무인카메라를 업데이트할 때 숫자 추가와 디자인 변경 부분까지 한번에 반영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또한 번호판 디자인에 대한 취향이 다양하고 페인트식과 반사필름식 번호판의 가격 차이도 있는 만큼 원하는 번호판을 소비자들이 직접 선택할 수 있게 할 예정이다.
모든 일에는 때가 있고, 그때를 놓치면 언제 다시 기회가 올지 모르는 법이다. 4차 산업혁명과 함께 새로운 교통수단이 속속 등장하며 차량 등록 체계에 대해 또 한 번의 고민을 앞둔 지금이 바로 자동차 번호판을 개편할 적기다. 국민의 다양한 의견을 들어가며 함께 완성해 가고 있는 이번 번호판 개편이 미래 교통환경 변화에 대비한 백년대계(百年大計)의 초석이 되기를 기대한다.
김정렬 국토교통부 2차관
특히 최근 10년간 국내 연평균 승용차 증가율은 4.1%로 같은 기간 인구증가율(0.49%)의 8배가 넘는다. 이는 국민생활 수준의 향상과 함께 1인 가구의 증가 등 우리나라의 사회적·경제적 변화가 반영된 결과일 것이다. 이 같은 승용차 증가 추세와 함께 친환경차, 자율주행차 등 새로운 교통수단의 등장으로 앞으로 훨씬 더 많은 등록번호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정부는 현재 포화 상태에 이른 등록번호 용량을 획기적으로 늘리는 동시에 자동차 번호판을 더 알아보기 쉽고 보다 세련된 디자인으로 변경하고자 한다.
올해 상반기에는 전문가 검토와 공청회, 온·오프라인 국민 의견수렴과 여론조사를 통해 ‘숫자 한 자리 추가’로 승용차 등록번호 체계 개선안을 확정했다. 예를 들어 현재 번호판 체계가 ‘12가1234’라면 숫자 한 자리가 추가돼 ‘123가1234’가 되는 것이다.
숫자 조합에 따라 약 2억개의 신규 번호 생성이 가능하게 돼 새로운 차종의 출현이나 남북통일과 같은 미래 교통환경 변화에도 문제없이 대응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새로운 번호 체계는 내년 9월부터 등록하는 승용차부터 적용될 예정이다.
한편 이번 번호판 개편과 함께 다양한 색채와 디자인을 적용할 수 있는 ‘반사필름 부착식’ 번호판을 도입하는 방안도 새로운 큰 변화라 할 수 있다. ‘반사필름 부착식’ 번호판은 현재 사용 중인 페인트식보다 야간에 번호판을 쉽게 알아볼 수 있고 안전사고 예방에도 효과적이다.
또한 필름에 국가를 상징하는 문양을 넣거나 번호판 위·변조 방지를 위한 홀로그램 등을 삽입하면 보다 더 다양한 기능도 확보할 수 있다. 지난 4월 실시한 국민 선호도 조사 결과에서도 반사필름식 번호판을 좀더 선호(53%)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미 대부분의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에서는 ‘반사필름 부착식’ 번호판을 사용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2016년부터 전기자동차 번호판에 도입한 바 있다.
현재는 여러 디자인 안에 대한 2차 선호도 조사를 진행 중이다. 올 연말까지 최종안을 확정해 번호판 개편을 완료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내년에 경찰청, 교통안전공단 등 공공기관이 새로운 번호판을 인식할 수 있도록 무인카메라를 업데이트할 때 숫자 추가와 디자인 변경 부분까지 한번에 반영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또한 번호판 디자인에 대한 취향이 다양하고 페인트식과 반사필름식 번호판의 가격 차이도 있는 만큼 원하는 번호판을 소비자들이 직접 선택할 수 있게 할 예정이다.
모든 일에는 때가 있고, 그때를 놓치면 언제 다시 기회가 올지 모르는 법이다. 4차 산업혁명과 함께 새로운 교통수단이 속속 등장하며 차량 등록 체계에 대해 또 한 번의 고민을 앞둔 지금이 바로 자동차 번호판을 개편할 적기다. 국민의 다양한 의견을 들어가며 함께 완성해 가고 있는 이번 번호판 개편이 미래 교통환경 변화에 대비한 백년대계(百年大計)의 초석이 되기를 기대한다.
2018-12-03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