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소영 식물세밀화가
현장에서 식물이 살아 있는 모습을 최대한 자세히 스케치한 후 번식에 해가 되지 않을 개체를 선택해 가위로 원하는 부위를 절단한다. 절단한 부위는 채집 봉투에 넣어 밀봉한다. 식물의 수분 손실을 최대한 막기 위해서다. 그리고 현미경 관찰을 위해 가져온 식물을 다시 꺼내는 순간부터 나만의 카운트다운이 시작된다. 공기에 노출된 절화는 이제 서서히 시들고 말라 갈 것이기에 식물이 변형되기 전 관찰을 끝내야 한다.
150여종의 바질 중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이용되는 스위트바질. 몸 전체에 털이 있으며 꽃은 보랏빛을 띠는 흰색이다.
식물이 시드는 현상은 체내 수분이 부족하다는 의미다. 식물은 토양으로부터 뿌리와 줄기, 잎에 수분을 공급받으며 잎의 기공을 통해 끊임없이 수분을 방출한다. 유입되는 수분보다 방출되는 것이 많을 때 식물 내 수분 균형이 무너지고, 잎과 줄기의 세포가 붕괴되면서 식물은 시들기 시작한다.
그래서 여름에는 작업이 더 고되다. 더위에 땀을 흠뻑 흘리는 사람들처럼 식물 또한 여름에 더 많은 수분을 방출하기 때문이다. 온도가 높아질수록 식물은 더 많은 수분을 원하며, 그림을 그리기 위해 채집한 식물은 더 빨리 말라 간다. 그런 식물을 위해서 내가 덥지 않더라도 에어컨을 틀어 실내 온도를 낮춰 두고 그림을 그려야 할 때도 있다. 표본을 만드느라 신문지 사이에 넣어 둔 식물도 어찌나 금방 마르는지 식물의 수분을 대신 머금은 신문을 아침저녁으로 꼬박 갈아 준다. 그러나 겨울은 상황이 다르다. 추위에 몸을 움츠리는 나처럼, 식물 역시 수분을 천천히 방출하기 때문이다. 식물을 따라 내 생활의 속도도 느려진다.
봄에 꽃이 피는 작은 들풀 중에는 수분 손실이 빠른 종이 많다. 왼쪽은 꽃마리, 오른쪽은 꽃다지.
생체를 자른 자리에서 바로 시들어 버리는 식물 중엔 바질도 있다. 바질을 그리느라 직접 재배한 바질 줄기를 잘라 책상에 앉는 새에 바질 잎은 힘없이 처지기 시작했고, 스케치를 하는 내내 잎은 안으로 말려들었다. 물에 담가도 별 소용이 없다. 내게는 참 곤혹스러운 바질이다. 그러나 모두들 바질을 허브의 왕이라 부른다. 달콤하면서도 톡 쏘는 향은 4000년이 넘도록 세계에서 널리 사랑받아 왔으며, 이탈리아에선 바질 없이는 요리하지 못한다고도 한다.
어느 날 요리사인 친구가 슈퍼에서 바질 한 봉지를 샀는데 며칠 안 가 잎이 녹아 버렸다는 이야기를 했다. 그 말을 들은 나는 당연하다는 듯 바질을 그리던 경험을 이야기하며, 바질은 잎이 물에 닿으면 색이 짙어지면서 녹거나 상온에서 금방 말리기 때문에 구입한 즉시 요리하는 것이 좋다는 이야기를 했다. 생각해 보면 유럽 어느 나라든 슈퍼에서 가장 많이 팔던 채소 화분 역시 바질이었다. 바질은 대개 소량만 사용하기 때문에 직접 화분에 재배하면서 요리에 이용하기 좋은 식물이다.
바질만큼은 아니지만 재빨리 관찰해 그려야 했던 또 다른 식물은 시금치다. 시금치 역시 잎이 물에 닿으면 금방 색이 짙어지며, 자꾸만 잎이 말려 제 형태를 그려 내기 어려웠다. 수분 손실이 빠른 성격 때문에 우리나라 시금치 재배 농장은 경기도에 가장 많다. 수확 후 최대한 빨리 유통해야 하기에 서울(시장)과 가까운 곳에 재배지를 두고 있다.
이토록 빨리 수분을 날려 버리는 바질과 시금치일지라도 다른 어느 계절보다 지금 이 겨울에 더 천천히 시들어 간다는 사실만은 누구도 부정할 수 없다.
겨울에는 다른 계절보다 더 자주 나의 작업실 꽃병에 꽃이 채워져 있다. 여름에 산 소국은 꽃병에서 3주 정도 가지만 겨울에는 한 달이 넘게 피어 있기 때문이다. 겨울은 내 눈앞의 식물들이 가장 천천히 생명력을 잃는 계절이다. 그림을 그리는 동안 손이 시릴지라도, 내가 그리고자 하는 식물이 꽃과 열매를 드러내지 않을지라도 나는 이 겨울이 참 고맙다.
2022-01-06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