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은귀 한국외대 영문학과 교수
간직하기 가장 어려운 빛.
자연의 이른 이파리는 꽃,
허나 단 한 시간 그러할 뿐.
잎은 곧 잎으로 사그라들고.
그렇게 낙원은 슬픔에 빠지고,
그렇게 새벽은 낮으로 내려앉네.
어떤 금빛도 머무를 수 없다네.
―로버트 프로스트,
‘어떤 금빛도 머무를 수 없다네’
연두에서 녹색으로 짙어지는 5월이다. 자연의 첫 녹색, 그 정확한 색을 아는 분? 존 F 케네디 전 대통령 취임식에서 축시를 읽은 시인 로버트 프로스트에 따르면 그건 금빛이란다. ‘gold’는 가치가 큰 금속 원소 ‘금’ 혹은 금화나 금붙이를 뜻한다. 세 번째 의미는 바로 색깔이다. 공기 중에 산화되지 않고 노랗게 빛나는 금빛. 자연의 첫 초록을 금빛으로 포착한 시인의 시선. 역시 섬세하다.
이 금빛은 그러나 간직하기 가장 어려운 빛이라 한다. 자연의 이른 이파리는 꽃과 같지만 오직 한 시간만 그렇다니. 연한 금빛이 초록으로 짙어지는 변화를 그리는 시에서 ‘subside’(내려앉다)를 나는 ‘사그라들다’로 옮긴다.
찬란한 첫 영광의 빛이 초록으로 짙어지고, 보드랍고 날카롭고 연약하고 예민한 첫 이파리의 금빛이 평범하게 무리 지은 진초록 이파리들의 세계로 옮겨 가는 과정을 실감나게 살리고 싶어서다.
모든 처음, 금빛 낙원의 시간은 그렇게나 짧고 덧없다. “모든 좋은 날들은 흘러가는 것 잃어버린 주홍 머리핀처럼”으로 시작하는 김사인 시인의 시 ‘화양연화’처럼. 그 슬픔 없는 시작, 찬란한 낙원은 금방 슬픔으로 빠진다. 새벽이 낮으로 내려앉는 시간은 아이가 어른이 되는 시간, 참신한 꿈이 낡고 비루해지는 과정과 꼭 닮았다.
‘어떤 금빛도 머무를 수 없다네’는 모든 생명이 겪는 탄생, 성장, 사멸로 이르는 과정을 정갈하게 말하면서 동시에 찬란한 영광의 덧없음을 선연하게 보여 주는 시선을 품고 있다. 시작의 자리는 금빛의 영광이 함께하기에 영원할 것 같지만, 오래 쥐고 있고 싶어도 금방 사그라든다. 꿈처럼. 첫 시작의 자리에 부패나 타성, 혹은 안일한 게으름이 쉽게 들어서게 되는 것도 그 때문일까. 반짝이던 첫 자리에 타성의 먼지가 내려앉고 꿈이 슬픈 어둠으로 변하면, 우리는 어디에서 잘못됐는가 물어보지만 가끔 그 질문은 너무 늦을 때가 많다.
금빛의 잎이 초록으로 짙어지고 마른 이파리로 떨어지는 탄생, 성장, 소멸의 과정처럼 인간도, 인간이 만드는 조직도, 국가도 모두 비슷한 과정을 겪는다. 무언가를 마음대로 할 수 있는 권력의 자리에 새로 오르게 되면 금방 취하게 되는 것도 그 시작의 색깔, 금빛의 찬란함 때문이리라. 자연이 가르쳐 주는 진리를, 그 시선을 우리도 제대로 알면 좋겠다.
올봄도 찬란의 시간을 지나왔다. 누구는 찬란이 거두어진 초록 그림자의 휴식을 바라보고, 누구는 찬란의 시간을 이제 막 화려하게 시작했다. 찬란에 눈이 멀지 않기를 바란다. 어떤 금빛도 오래 머무를 수 없으니.
2022-05-12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