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은귀의 詩와 視線] 단 한 번의 여름 이후/한국외대 영문학과 교수

[정은귀의 詩와 視線] 단 한 번의 여름 이후/한국외대 영문학과 교수

입력 2022-08-31 20:44
수정 2022-09-01 02:1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정은귀 한국외대 영문학과 교수
정은귀 한국외대 영문학과 교수
쉿, 사랑하는 이여,

되돌아오려고 내가

몇 번의 여름을 사는지

그건 내게 중요하지 않아요

이 한 번의 여름에

우리는 영원으로 들어갔어요.

그 찬란한 빛을 풀어 주려고

나를 파묻는

당신 두 손을 나 느꼈어요.

― 루이즈 글릭 ‘흰 백합’ 부분

날이 서늘해졌다. 계절은 통과할 때는 힘겨운데 지나고 나면 언제 그런 날이 있었던가 싶게 흔적 없다. 무더운 여름에 큰비가 다녀갔고 안타까운 죽음이 있었다. 한국의 수해 소식을 접한 날 나는 미국 뉴욕의 은사님 댁에 있었다. 그 비극 앞에서 선생님은 작년에 뉴욕에도 허리케인이 몰아쳐 비슷한 일이 있었다며 11명의 죽음을 이야기하셨다. 대도시에서 사람들은 지상의 방 한 칸을 마련하지 못해 땅 밑으로 내려간다. 그 소박한 보금자리가 자연재해 앞에서 속절없이 참사의 현장이 된다. 아프다. 우리는 늘 한 걸음 늦게 아파하고.

반복되는 여름이 단 한 번의 마지막 여름이었을 사람들을 생각하다 시를 읽는다. 2020년 노벨문학상을 탄 루이즈 글릭(1943~)의 시다. 한 남자와 여자가 정원을 만드는 이야기로 시작하는 시는 백합의 목소리를 빌려 생과 멸을 말한다. 여름 정원은 풍성하고 화려한 공간, 꽃들이 다투듯 피어난 정원은 향긋한 내음으로 가득할 터. 하지만 그 절정의 순간은 한순간에 파국으로 치닫는다. 위기는 대개 축제의 시간에 온다는 것을 꽃의 목소리로 말하는 시인의 서늘한 시선. 일상의 평화와 안심, 행복 속에 불운과 불행, 참사가 어떻게 배태되는지, 팽팽하게 부푼 풍선이 터지듯 생의 환희는 갑자기 어떤 소멸로 스러진다.

생은 꽃이 지듯 진다. 정원의 꽃들이 어느 저녁 툭 떨어진다. 그 아픈 절명에도 불구하고 꽃은 말한다. 반복해서 돌아오는 계절의 약속 따윈 중요치 않다고. ‘이 한 번의 여름에 우리는 영원으로’ 들어갔다고. 생의 한가운데서 죽음을 맞는 존재의 필멸. 이 시는 사랑에 대한 시인 동시에 운명에 대한 시다. 나를 있게 하고 살게 하고 웃게 한 힘이 동시에 나를 아프게 하고 끝내는 나를 옥죄어 죽이기도 하는 일.

그렇다면 속절없는 사랑의 끝자락에 이르러 우리는 무엇으로 답해야 하나. 꽃의 답은 간명하다. “나를 파묻는 당신 두 손을 나 느꼈어요.” 생의 환희를 경험한 이가 상실도 죽음도 두려움 없이 맞이하는 일. 한 번 살아낸 걸로 충분하다는 말. 상처 많은 우리네 삶과 작별은 이 꽃처럼 용감하지도, 결연하지도 않다. 절정이 소멸로 치닫는 공포와 절망을 순순히 받아들이는 꽃의 목소리는 시간 앞에 서 있는 존재의 운명을 슬퍼하지 말라고 하지만, 이게 쉽지 않음을 우리는 잘 안다. 대신 나는 그 시선을 이어받아서 말한다. 어떤 죽음도 그 생명들이 발했을 생기와 사랑과 꿈을 끝내 다 지우지는 못할 거라고. 우리는 그걸 기억이라고 한다. 방관자의 어정쩡한 자세 대신 그 참혹과 죽음을 제대로 새기고 기억하는 일을 우리는 책임이라고 한다.
2022-09-01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정치적 이슈에 대한 연예인들의 목소리
가수 아이유, 소녀시대 유리, 장범준 등 유명 연예인들의 윤석열 대통령 탄핵 집회에 대한 지지 행동이 드러나면서 반응이 엇갈리고 있습니다. 연예인이 정치적인 이슈에 대해 직접적인 목소리는 내는 것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연예인도 국민이다. 그래서 이는 표현의 자유에 속한다.
대중에게 강력한 영향력을 미치는 연예인은 정치적 중립을 지켜야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