몇 년 전 잇따른 연예인 자살로 그 연예인과 자신을 동일시하여 자살을 시도하는 ‘베르테르 효과’가 유행해 큰 충격을 주었다. 하지만 그 이후로도 연령대에 상관없는 자살 소식은 우리 사회의 아픈 단면을 보여 준다. 최근 발표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건강 통계 2015’를 보면, 우리나라 자살률은 인구 10만명당 29.1명으로, OECD 회원국 중 11년째 1위다. OECD 회원국 평균 12명보다 2.5배가량 높다.
자살은 개인의 문제가 아닌 사회적 병리 현상이다. 자살하는 이유는 많겠지만 생명경시 풍조가 가장 큰 원인이라고 하겠다. 생명경시 풍조는 물질 만능주의가 빚어낸 부작용이다. 자신의 생명을 가벼이 여기면 남의 생명도 귀한 줄 모르게 되고, 이는 생명경시 풍조의 악순환을 초래한다. 자살을 줄이고 예방하기 위해서는 생명이 존중될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해야 한다. 요즘처럼 무한경쟁 속에서 자살률을 낮추기 위해서는 사회적·제도적 차원의 대책이 뒤따라야 한다. 프랑스 사회학자 에밀 뒤르켐이 주장한 사회통합의 정도가 높고 규제력이 강한 사회에서는 자살률이 낮다는 사실에 유념하면서 생명존중 문화 조성과 사회안전망을 구축해야 한다.
9월 10일은 ‘자살예방의 날’이다. 자살 문제 예방과 대책을 마련하고 공동의 노력과 정보를 공유하고자 제정한 날이다. 생명 중시 문화 조성에 모두가 동참하여 소중한 생명을 보호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이정환 농협구미교육원 교수
자살은 개인의 문제가 아닌 사회적 병리 현상이다. 자살하는 이유는 많겠지만 생명경시 풍조가 가장 큰 원인이라고 하겠다. 생명경시 풍조는 물질 만능주의가 빚어낸 부작용이다. 자신의 생명을 가벼이 여기면 남의 생명도 귀한 줄 모르게 되고, 이는 생명경시 풍조의 악순환을 초래한다. 자살을 줄이고 예방하기 위해서는 생명이 존중될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해야 한다. 요즘처럼 무한경쟁 속에서 자살률을 낮추기 위해서는 사회적·제도적 차원의 대책이 뒤따라야 한다. 프랑스 사회학자 에밀 뒤르켐이 주장한 사회통합의 정도가 높고 규제력이 강한 사회에서는 자살률이 낮다는 사실에 유념하면서 생명존중 문화 조성과 사회안전망을 구축해야 한다.
9월 10일은 ‘자살예방의 날’이다. 자살 문제 예방과 대책을 마련하고 공동의 노력과 정보를 공유하고자 제정한 날이다. 생명 중시 문화 조성에 모두가 동참하여 소중한 생명을 보호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이정환 농협구미교육원 교수
2015-09-05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