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현 건국대 의학전문대학원 교수
인생은 이렇듯 엉뚱한 방향으로 흐르기도 한다. 내게도 목표가 있다. 10만부 판매되는 베스트셀러 한 권을 내보고 싶다는 것이다. 아직까지 목표를 달성하지 못했기 때문에 계속 책을 써 왔고, 올해도 이 목표를 위해 써 보려고 한다.
이때 내 결심이 오기는 아닌가 하는 고민이 든다. 실현하기 어려운 목표를 세워 놓고 그걸 달성할 때까지 묻지도 따지지도 않고 시도한다는 건 여러모로 피곤한 일이 돼 버린다.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면 그간 노력이 전혀 의미가 없다는 마음도 든다. 이건 자주 상담하는 주제 중 하나다. 자격증 시험을 준비하는 청년이 처음에는 1·2차 동시 합격을 목표로 공부를 시작했지만, 막상 시험이 3개월 앞으로 다가오자 동시 합격은커녕 1차도 제대로 못 할 것 같다는 압박이 커졌다. 하루 종일 멍하니 있으며, 한 시간도 집중이 되지 않고, 지난 1년을 허송세월한 것 같아 무서워지기만 하고 열 시간씩 잠만 잔다. 목표를 높게 세운 것은 동기를 주지만, 그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면 지금까지 한 것이 의미 없는 듯해진다. 이런 무의미의 공포에 무너진 것이다.
마치 올림픽 은메달을 목에 건 선수가 목표로 한 금메달을 따지 못했으니 실패했다며 자책하는 것과 같다. 국가대표가 된 것부터 대단하고, 시상대에 오를 정도의 실적을 올린 것은 더욱 대단한 것인데도 불구하고.
여기에 달성이 1, 실패가 0으로 인식되는 목표 설정의 첫 번째 문제점이 있다. 오직 목표 달성의 유무로만 구별하며 “2등은 아무도 기억하지 않는다”는 경구를 되뇌게 된다. 두 번째는 오기가 행동의 근원이 되는 것이다. 왜 하는지는 잊어버리고 목표에 매몰돼 버린다. 어느 순간에는 될 때까지 해볼 것이라며 관성적 반복을 한다. 누가 이기나 보자, 끝까지 가 본다는 마음만 남은 채 실패의 좌절도 어느새 굳은살이 박여 무감각해진다. 뭔가 열심히 하는 것 같지만 부질없는 시도의 연속일 뿐이고 재미도 없고 성취감도 없다.
목표를 세우고 추구하는 것은 무척 중요하다. 이때 이 두 문제를 기억했으면 한다. 실패했다고 해도 그동안 해온 방향이 맞다면 그 과정에서 남은 성과는 충분히 의미가 있다는 것, 그리고 여러 번 같은 실패를 한다면 능력에 맞춰 목표를 재조정하지 않고 오기만으로 행동하고 있는지 돌이켜 봐야 한다는 것이다.
나는 그런 맥락에서 올해 출판사에 손해는 끼치지 않는 수준의 판매는 하자는 목표로 쓰려고 한다. 기준점을 넘어서는 일을 반복하다 보면 홈런 한 방 터질 것을 기대하면서. 오기를 부리려 해도 타석에 설 기회가 없으면 아무 소용이 없는 것이 냉정한 세상 이치이기 때문이다. 웬 엄살이냐고? 여러분, 새해에는 책 한 권씩 더 읽읍시다.
2023-01-04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