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근길 버스에 오르면 운전기사의 옷차림에 먼저 눈이 간다. 두툼한 옷을 입었으면 안심하지만, 와이셔츠 바람이면 걱정이 앞선다. 한겨울에도 와이셔츠만 입은 운전기사가 모는 버스는 내부가 후끈 달아 있기 마련이다. 더운 바람이 최대한 강하게 나오도록 히터를 틀어놓는 경우가 많다. 정류장에서 추위에 떨며 기다리던 손님들이니 처음에는 버스 안의 온기가 반갑다. 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사우나에 들어가 있는 것 같은 고통에 시달린다. 유난히 더위를 타는 체질 때문이겠지만, 다른 손님들도 겉옷을 벗기도 어려울 만큼 좁은 좌석에 끼어 앉아 편치 않은 표정을 짓기는 마찬가지인 듯하다.
적지않은 운전기사는 버스 안이 ‘찜통 모드’에 접어들어도 히터를 끄기보다 운전석 창문을 연다. 와이셔츠 바람에도 답답할 지경이라면 방한복으로 중무장한 손님들은 오죽할까. 더구나 서울과 경기도 신도시를 오가는 광역버스의 승객석 창문은 대부분 열리지 않는 구조다. 버스기사들에게 자신이 아니라 손님을 중심으로 차 안의 쾌적함을 유지해 달라고 하면 무리한 부탁일까.
서동철 논설위원 dcsuh@seoul.co.kr
적지않은 운전기사는 버스 안이 ‘찜통 모드’에 접어들어도 히터를 끄기보다 운전석 창문을 연다. 와이셔츠 바람에도 답답할 지경이라면 방한복으로 중무장한 손님들은 오죽할까. 더구나 서울과 경기도 신도시를 오가는 광역버스의 승객석 창문은 대부분 열리지 않는 구조다. 버스기사들에게 자신이 아니라 손님을 중심으로 차 안의 쾌적함을 유지해 달라고 하면 무리한 부탁일까.
서동철 논설위원 dcsuh@seoul.co.kr
2014-01-08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