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혀를 내두르다’는 관용구/문소영 논설위원

[길섶에서] ‘혀를 내두르다’는 관용구/문소영 논설위원

입력 2014-01-27 00:00
수정 2014-01-27 01:5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혀를 내두르다’란 표현을 흔히 쓴다. ‘무릎을 탁 쳤다’와 마찬가지로 감탄을 하거나 예상 밖의 상황을 만났을 때에 쓰는 관용구다. 그런데 무릎을 치는 행위와 달리, 혀를 내두르다는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사람의 혀를 좌우로 또는 위아래로 흔들기에는 그것이 개구리나 소의 혀처럼 길지 않기 때문이다. 혀를 내민 뒤 고개를 도리도리로 흔들어야만 ‘혀를 내두르다’는 표현에 가깝게 접근할 수 있다. 그렇다면 그 유래는 어딜까. 낯이 두꺼워 몹시 뻔뻔하다는 의미의 후안(厚顔)처럼 한자의 근원을 찾아보았다. ‘토설’(吐舌)이 가장 가깝다고 고전번역학자가 알려왔다.

‘토설’은 한국문집이나 왕조실록 등의 고전자료에 많이 보인다. ‘선조실록’에 나오는 ‘견지자실색 문지자토설’(見之者失色 聞之者吐舌)이 ‘보는 자는 안색이 변하고 듣는 자는 혀를 내두른다’로 번역된다. 8세기 당나라 한유의 ‘송궁문’(送窮文)에도 ‘토설’이 나온다. ‘혀를 내두르다’의 근원을 찾아 겨울철 짧은 하루 해를 다 보냈지만, 유장한 역사를 알게 된 보람찬 하루다.

문소영 논설위원 symun@seoul.co.kr
2014-01-27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