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겨울 독서/문소영 논설위원

[길섶에서] 겨울 독서/문소영 논설위원

입력 2015-01-19 18:00
수정 2015-01-19 19:1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독서의 계절을 가을이라고 한다. 가을에는 단풍(丹楓)이 더 붉게 더 노랗게 익어 가는데 놀고 싶은 싱숭생숭한 마음으로 어떻게 책을 읽을 수 있을까 싶다. 또 독서의 계절로 가을을 지목한 전통을 중세에서 찾기에도 애매하다. 국가 경제가 농업에 달려 있어 1년 먹을 식량을 갈무리하는 수확에 바쁠 시기에 어떻게 책을 읽느냐 말이다. 귀족이나 양반이라면 몰라도. 따라서 평범한 이들의 독서의 계절은 가을보다 겨울이 아닐까 싶다. 형설지공(螢雪之功)의 고사성어를 봐도 가을 이야기는 코빼기도 안 보인다. 꽁무니에서 신비로운 불을 밝히는 반딧불이는 6월에 나타나는 곤충이고, 눈은 겨울의 산물이 아닌가. 물론 등화가친지절(燈火可親之節)이 가을이고, 등불 아래서 책을 읽는 계절이라고 한다. 하지만 밖은 춥고 집 안은 따뜻해 꼼짝하기 싫은 겨울이야말로 나 홀로 숨어 책 읽기에 안성맞춤이 아닐 수 없다.

지난 주말 소설가 박완서의 수필 ‘호미’ 개정판을 읽었다. 봄날 뚝뚝 떨어지는 목련꽃이 보기 싫어 베어낸 둥치에서 아무리 훑어 내도 새잎을 내더라는 글을 읽으니 돌아가신 박완서 선생도 그립고, 아직 오지 않은 봄도 미치도록 그립다.

문소영 논설위원 symun@seoul.co.kr
2015-01-20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