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감자를 먹으며/황수정 논설위원

[길섶에서] 감자를 먹으며/황수정 논설위원

황수정 기자
황수정 기자
입력 2019-05-23 17:34
업데이트 2019-05-24 12:1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햇’이라는 접두사가 감자만큼 잘 어울리는 것이 없다. “햇감자” 소리만 들어도 안달이 난다. 흙에서 솟은 둥그런 품성이 그저 좋아서 요량없이 사들이니 계절병이다. 까만 비닐 봉다리가 뒷베란다에 일렬횡대. 어쩔 셈인지.

유월이 다가오면 집 앞 감자밭에는 흰꽃이 만개했다. 달이 환한지 감자꽃이 밝은지 분간할 수 없었다. 달이 있는 밤에 할머니는 초저녁잠 대신 잔손을 놀려 감자꽃을 꺾어 내셨다. 꽃을 뚝뚝 분질러 “이래야 감자알이 영글지, 미안하네” 혼잣말을 하셨다. 아까워도 멀리 버려야 한다는 것을 감자밭에서 알았다. 감자꽃만큼 눈이 밝았던 날.

누가 다 먹는다고, 소쿠리 넘치게 감자를 삶았다. 어찌 해봐도 옛날의 맛은 돌아오지 않는다. 숟가락으로 껍질을 북북 긁어 굵은 소금에 사카린을 대충 질러도 양은솥에 오달지게 눌어붙던 하나뿐인 맛. 봄마다 미궁에 빠지는 그 맛.

삼시 세끼 감자를 먹어 본다. 감자꽃이 달보다 환했던 달밤을 같이 먹는다. 아이는 온종일 감자 소쿠리에 눈길 한 번 주지 않는다. 소소하고 심심한 것들이 말없이 감싸 줄 때가 있는데. 뜨겁게 허기를 채워 줄 때가 있는데.

두고 온 그곳으로 열두 번은 들락날락, 혼자 깊어지는 감자 먹는 밤.

sjh@seoul.co.kr
2019-05-24 2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