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대한 우주 속에서 나는 무엇일까. 나는 어떻게 지금 이 자리에 있는 것일까. 138억년이란 시간과 지금도 확장되고 있다는 무한성의 공간. 우주의 시작은 언제이며 끝은 어디인가. 그 경계를 넘어갈 수는 있는 것일까.
우주 진화에 대한 전문서적에 도전한 것은 막연하게 궁금증을 풀어 보고자 하는 무모함에서 비롯됐다.
10의 마이너스 35승 초. 150억 광년. 불교에서 말하는 찰나와 억겁이란 이렇게 상상 불가인 시공(時空)을 뜻하는 것일까. 잔뜩 벼르고 있었던 터였기에 2할도 이해하지 못하면서 끝까지 읽은 심정은 절망에 가까웠다.
다만 우주 속에서 인간이란 미물(微物)의 영역을 새삼 자각했다. 그 속에서 날뛴들 언제 저 천상 세계, 춘향이가 말하던 도솔천(兜率天)에 닿을 수 있단 말인가. “도솔천의 하늘을 구름으로 날더라도 그건 결국 도련님 곁 아니어요?”
그래도 고개를 들어 하늘을 본다. 우주는 멀리 있는 게 아니라 바로 우리 위에 있다. 우리는 지구라는 별의 표면에 발을 붙이고 머리는 탁 트인 우주로 향하고 있는 것이다.
지금 내가 서 있는 곳이 바로 우주 공간이라는 사실을 깨닫자 잠잠하던 가슴이 갑자기 뛰기 시작했다.
sonsj@seoul.co.kr
우주 진화에 대한 전문서적에 도전한 것은 막연하게 궁금증을 풀어 보고자 하는 무모함에서 비롯됐다.
10의 마이너스 35승 초. 150억 광년. 불교에서 말하는 찰나와 억겁이란 이렇게 상상 불가인 시공(時空)을 뜻하는 것일까. 잔뜩 벼르고 있었던 터였기에 2할도 이해하지 못하면서 끝까지 읽은 심정은 절망에 가까웠다.
다만 우주 속에서 인간이란 미물(微物)의 영역을 새삼 자각했다. 그 속에서 날뛴들 언제 저 천상 세계, 춘향이가 말하던 도솔천(兜率天)에 닿을 수 있단 말인가. “도솔천의 하늘을 구름으로 날더라도 그건 결국 도련님 곁 아니어요?”
그래도 고개를 들어 하늘을 본다. 우주는 멀리 있는 게 아니라 바로 우리 위에 있다. 우리는 지구라는 별의 표면에 발을 붙이고 머리는 탁 트인 우주로 향하고 있는 것이다.
지금 내가 서 있는 곳이 바로 우주 공간이라는 사실을 깨닫자 잠잠하던 가슴이 갑자기 뛰기 시작했다.
sonsj@seoul.co.kr
2019-07-01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