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가마솥 지구/이순녀 논설위원

[길섶에서] 가마솥 지구/이순녀 논설위원

이순녀 기자
이순녀 기자
입력 2019-07-08 23:32
업데이트 2019-07-09 02:5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연일 치솟는 수은주 눈금에 숨이 턱턱 막힌다. 지난해에도 역대급 무더위였는데, 망각의 동물이라 그런지 그 시절을 어떻게 견뎠나 기억이 잘 나지 않는다. 그러니 어느 해의 폭염이든 개인적인 체감온도는 언제나 최악일밖에.

수치가 주는 위압감은 한층 공포스럽다. 지난 주말 서울과 인천의 기온이 7월 첫 주 기온으로는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한다. 한반도뿐 아니라 지구촌 곳곳이 이상고온으로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북미대륙 최북단 미국 알래스카주의 기온은 지난 4일 낮 32.2도까지 치솟아 기상관측 이래 가장 높았다. 인도는 50도에 육박하는 폭염으로 100여명 이상이 목숨을 잃었다. 프랑스·독일·스페인·이탈리아 등 유럽 각국의 기온도 40도를 넘나들고 있다. 그야말로 펄펄 끓는 가마솥 신세다.

지구온난화의 역습이 시작에 불과하다고 기후학자들은 우려한다. 그런데도 이를 음모론으로 보는 시각 또한 여전히 존재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해 6월 지구온난화 방지를 위한 국제협약인 ‘파리기후변화협정’을 일방적으로 탈퇴했다. 올 초 워싱턴에 한파가 몰아닥치자 “기후온난화가 필요하다”며 조롱했던 트럼프가 지구촌 폭염사태를 어떻게 보고 있을지 궁금하다.

coral@seoul.co.kr
2019-07-09 2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