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처럼 주말에 만난 두 쌍의 부부가 심야에 격론을 벌였다. 이른바 ‘청소가 먼저냐, 정리가 먼저냐’의 문제였다. 집안 구석구석에 쌓인 먼지를 깨끗이 닦아내야 마음까지 가벼워진다는 ‘청소파’, 쓸모가 사라진 물건부터 치워야 속이 후련해진다는 ‘정리파’의 대결 구도였다. 우리 부부 중 나는 정리파, 아내는 청소파에 속한다. 공교롭게도 다른 부부는 남편이 청소파, 아내가 정리파였다.
이는 집안일의 우선순위, 스트레스를 푸는 방식에서도 차이를 만들어 낸다. 청소파의 눈에는 물건을 마구잡이 식으로 버리는 정리파가 못마땅하고, 정리파의 눈에는 언제 사용할지 기약이 없는 물건을 쟁여 두는 청소파가 거슬릴 수밖에 없다. 그 바탕에는 물건에 의미를 부여하는 방식에 대한 인식 차도 깔려 있다.
절대적인 기준이 없는 문제다 보니 논쟁은 꽤 오래 지속됐다. 하지만 결론은 의외로 쉽게 나왔다. 우리 집에서는 내가 몰래 버리고, 다른 부부 집에서는 남편이 몰래 숨긴다. 청소가 먼저냐, 정리가 먼저냐를 판단하기 이전에 집안일을 다루는 주도권을 누가 쥐고 있느냐가 더 중요한 문제다. 두 남편이 “약자(?) 의견도 존중해 달라”고 한 이유다. 싱겁지만 유쾌한 논쟁, 부부간 대화거리가 되고 서로 이해하는 시간도 된다.
shjang@seoul.co.kr
이는 집안일의 우선순위, 스트레스를 푸는 방식에서도 차이를 만들어 낸다. 청소파의 눈에는 물건을 마구잡이 식으로 버리는 정리파가 못마땅하고, 정리파의 눈에는 언제 사용할지 기약이 없는 물건을 쟁여 두는 청소파가 거슬릴 수밖에 없다. 그 바탕에는 물건에 의미를 부여하는 방식에 대한 인식 차도 깔려 있다.
절대적인 기준이 없는 문제다 보니 논쟁은 꽤 오래 지속됐다. 하지만 결론은 의외로 쉽게 나왔다. 우리 집에서는 내가 몰래 버리고, 다른 부부 집에서는 남편이 몰래 숨긴다. 청소가 먼저냐, 정리가 먼저냐를 판단하기 이전에 집안일을 다루는 주도권을 누가 쥐고 있느냐가 더 중요한 문제다. 두 남편이 “약자(?) 의견도 존중해 달라”고 한 이유다. 싱겁지만 유쾌한 논쟁, 부부간 대화거리가 되고 서로 이해하는 시간도 된다.
shjang@seoul.co.kr
2019-11-06 3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