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인생 2막/박홍환 평화연구소장

[길섶에서] 인생 2막/박홍환 평화연구소장

박홍환 기자
입력 2021-12-12 20:28
수정 2021-12-13 00:5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길섶에서
길섶에서
연말 인사철을 실감케 하듯 동정을 전하는 친구들의 연락이 잦다. 누군가는 영전을, 누군가는 퇴직 소식을 전해오는 데 평생을 몸담은 직장생활을 이제 막 끝냈다는 전언이 상대적으로 많다. 사회에 첫발을 내디뎠을 때의 기억이 마치 엊그제 일처럼 생생한데 부지불식간에 퇴직기에 접어들었으니 흔한 말로 쏜살같이 시간이 흘러간 셈이다.

더 높은 자리로 올라간 친구들에게야 “영전을 축하한다”거나 “앞으로 더 건승하라”는 덕담만으로도 충분하지만 수십년간 몸담은 회사를 나와 세상에 다시 벌거숭이로 서게 된 친구들의 연락을 받으면 한동안 얼음처럼 굳어지게 된다.

얼마 전 한 친구의 퇴직 소식을 카카오톡 메시지로 확인했다. “그간 고생 많았다.” “리프레시 후 즐거운 제2의 인생을 맞이해라.” “이제 여유 갖고 자주 만나자.” “엄지 척! 조만간 따라가마.”

친구들의 카카오톡 메시지가 이어졌지만 당사자는 묵묵부답이다. 언젠간 그만둬야 한다는 것이야 누구라도 알지만 막상 그 시간이 닥쳤을 때의 황망함이 얼마나 클 것인가. 그럼에도 “잠시 재충전 시간을 보낸 후 인생 2막을 준비하길 바란다”는 말을 전할 수밖에 없다. 100세 시대, 아직 40여년의 시간이 남아 있지 않은가.

2021-12-13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2 / 5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2 / 5
2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