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상실의 시대/진경호 논설위원

[길섶에서] 상실의 시대/진경호 논설위원

진경호 기자
진경호 기자
입력 2021-12-26 17:30
수정 2021-12-27 01:1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길섶에서
길섶에서
지인의 지인이 키우던 ‘방울이’(개라고는 못 하겠다)가 죽었다. 10년 넘게 애지중지 키웠던 가족들은 차마 화장을 못 하고 산책길 어귀에 몰래 묻었다고 한다. 한데 며칠 뒤 비가 몹시 퍼부었고, 지인의 지인의 아내는 밤새 발을 구르더니 동 틀 무렵 뜯어말릴 틈도 없이 방울이 묻힌 곳으로 달려가 맨손으로 땅을 파헤쳤단다. 젖은 땅에 놔둘 수 없다고, 집으로 데려가겠노라고. 새벽 어스름 이 기괴한 모습에 놀란 주민이 신고를 했고, 같이 놀란 경찰이 달려오고….

반려동물이 열 집 중 세 집에 산다는 통계를 봤다. 지난해 기준 2100만 가구 중 604만 가구가 반려동물을 키운다. ‘댕댕이’가 602만 마리, ‘냥이’가 258만 마리. 2016년 이후 출생한 아기 수가 167만이니 아기를 둔 집은 열 집 중 한 집도 안 된다. 견줄 대상은 결코 아니겠으나 통계 숫자는 반려동물이 아기를 대체하고 있음을 뚜렷이 보여 준다.

반려동물을 키워 본 처지에 어찌 이들이 주는 기쁨과 위안을 모를까만 반려동물이 는다는 건 반가운 시그널만은 아닌 듯하다. 위로가 필요하다는 것, 상처가 크다는 것, 외롭다는 것…. 댕댕이를 데리고 산책 다니는 사람들이 크게 늘었다 싶더니 요즘엔 달리 보인다. 댕댕이가 사람을 끌고 다닌다. 아닌가. 착각이길….

2021-12-27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3 / 5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3 / 5
3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