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아시아문화전당과 지역 문화/서동철 논설위원

[씨줄날줄] 아시아문화전당과 지역 문화/서동철 논설위원

입력 2014-07-16 00:00
업데이트 2014-07-16 00: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광주광역시에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을 짓는 공사가 오는 10월 마무리된다고 한다. 조만간 콘텐츠 계획을 확정한 뒤 내년 9월 광주디자인비엔날레에 맞춰 정식 개관한다는 소식이다. 아시아문화전당은 서울의 예술의전당이나 국립중앙박물관보다도 규모가 큰 복합문화공간이다. 그것도 금남로의 옛 전남도청 자리에 세워지고 있으니 광주 민주화 운동의 궁극적 목적이 결국 국민을 문화로 행복하게 만드는 것이었음을 무언으로 역설하고 있다.

아시아문화전당은 광주를 평화예술도시로 만들겠다는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사업의 일부분이다. 당연히 아시아 문화의 교류 중심지로, 아시아 문화를 확대 재생산해 나가는 근거지로 만드는 것이 목표일 것이다. 그러니 문화체육관광부의 아시아문화도시추진단이 ‘아시아 문화를 주도하는 새로운 흐름을 만들겠다’고 의욕을 보이는 것도 자연스럽다.

한편으로 아시아문화전당이 ‘아시아’와 ‘지역’의 조화를 어떻게 이룰 것인지는 걱정도 없지 않다. 아시아문화전당이 각국의 열렬한 호응으로 명실상부한 아시아 문화 센터로 발돋움해 다양한 국적의 아시아인으로 북적거릴 가능성은 그리 높지 않아 보인다. 그런 만큼 아시아문화전당이 ‘아시아 문화의 교류와 발전’이라는 구상 단계의 이상(理想)말고도 ‘문화 교류를 이용한 지역 문화 발전’을 또 하나의 중요한 목표로 삼는 것도 좋을 듯하다.

광주사람들이 아시아문화전당에 갖는 감정은 상당히 복합적이다. 거대한 문화공간이 일단 ‘내 고장’에 들어선다는 데 따른 기대감은 매우 높다. 하지만 지역민의 문화적 삶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좋아질 수 있다는 것인지는 누구도 설명하지 못한다. 광주지역 문화계 전체가 ‘아시아 중심’ 담론에 지나치게 집중하고 있는 것도 바람직스럽지 않아 보인다.

연장선상에 전남·북의 소외감이 있다. 아시아문화전당은 정부가 광주에만 준 선물이라는 인식이 그것이다. 광주는 전남·북의 많은 지역에서 한두 시간이면 오갈 수 있다. 아시아문화전당이 전남·북까지 포괄하는 지역문화의 전당이라는 개념을 제시했더라면 이런 소지역 갈등은 지금보다 훨씬 덜했을 것이다.

아시아문화전당은 도시재생의 발판이 될 것이라는 기대를 모은다. 낙후한 광주 옛 도심을 문화의 거리로 되살리는 역할을 충분해 해낼 수 있을 것이다. 대형 문화공간이 주변을 문화적으로 탈바꿈시킨 사례는 얼마든지 찾을 수 있다. 그럴수록 금남로 주변의 도시재생보다는 훨씬 더 큰 꿈을 가졌으면 좋겠다. 광주시와 전남·북 문화재생의 명실상부한 중심이 되는 것이다. 지역의 전폭적 지지는 국제적 문화 중심지로 발전하는 원동력이다.

서동철 논설위원 dcsuh@seoul.co.kr
2014-07-16 3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