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진보의 싸가지 논쟁/문소영 논설위원

[씨줄날줄] 진보의 싸가지 논쟁/문소영 논설위원

입력 2014-09-04 00:00
업데이트 2014-09-04 01: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강준만 전북대 교수가 최근 출간한 책 ‘싸가지 없는 진보’가 입길에 오르고 있다. 진보가 싸가지를 장착하지 않으면 2017년 대통령 선거에서 집권할 수 없다는 내용의 인터뷰도 했다. 이에 대해 또 다른 진보의 아이콘 진중권 동양대 교수는 “싸가지가 문제가 아니라 대중에게 할 말이 없다는 것이 문제로, 진보·개혁이 도덕 재무장 운동도 아니고”라고 비판했다. 진 교수는 “지난 대선에서 새누리당에 진보의 의제를 모두 빼앗겼다”면서 “분배의 측면에선 복지와 경제민주화, 성장의 측면에선 창조경제 등이 모두 새누리당에 의해 소모되어 버렸다”고 지적했다. 진 교수는 “1987년 민주화 이후로 대중의 욕망을 사로잡지도 못하고, 통일은 북한의 변화가 없는 이상 개성공단이 최대치”라고 했다. 국민이 진보를 선택하지 않는 이유가 무능인가, 예의 없는 태도인 싸가지가 없기 때문인가가 논란이 된 것이다.

강 교수의 ‘싸가지 논쟁’은 진보 진영에서 새로운 논제는 아니다. ‘독수리 오형제’로 불리던 부산시장 후보 김영춘 전 국회의원은 유시민 전 보건복지부 장관을 두고 “맞는 말을 참 싸가지 없게 한다”고 비판했다. 아무리 옳은 이야기도 싸가지 없게 말하면 대중이 수용하지 않는다는 의미였다. 2004년 유시민 국회의원의 TV토론을 지켜봤던 사람들은 그 지적을 금세 이해했다. 상대방을 존중하지 않고, 유아독존 식의 토론을 보면서 건방지고 혼자 잘난 척하는 진보의 졸렬함에 기함한 탓이다. 현재 ‘싸가지 없다’는 ‘예의 없다’거나 ‘겸손하지 않다’, ‘재수 없다’ 등 태도의 문제로 이해된다. 그러나 ‘싸가지 없다’의 본뜻은 훨씬 심각하다. ‘싸가지’는 ‘싹수’라는 의미의 강원도와 전라도의 방언이다. 싹수는 ‘어떤 일이나 사람이 앞으로 잘될 것 같은 낌새나 징조’를 의미하는데, 본질적으로 새싹과 관련 있는 말이다. 즉 ‘싸가지 없다’는 말은 씨를 심었는데 새싹이 나지 않는다는 말이니까 인생의 미래가 없고 전망도 없다는 의미다.

강 교수가 우리 사회 진보의 미래도 전망도 없다는 극단적인 의미로 ‘싸가지 없는 진보’를 쓰진 않았을 것이다. 커뮤니케이션(소통)에서 말투와 선정된 단어, 음성 등 아주 사소한 것들이 상대방을 설득할 때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생각하면 ‘진보는 싸가지 없어서는 안 된다’는 그의 지적은 올바르다. 게다가 정부와 싸우는 과정에서 들끓는 분노를 견디지 못하고 욕설을 퍼부으면 그것을 꼬투리 잡아서 흠으로 만드는 ‘보수적’인 사회이니, 강 교수의 ‘진보라면 싸가지 장착’은 진리일 수 있다. 그러나 진보가 집권을 꿈꾼다면 본질적으로 미래에 대한 전망을 제시해야 할 것이다.

문소영 논설위원 symun@seoul.co.kr
2014-09-04 3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