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알리와 테무의 침공/전경하 논설위원

[씨줄날줄] 알리와 테무의 침공/전경하 논설위원

전경하 기자
전경하 기자
입력 2024-02-16 01:23
업데이트 2024-02-16 01:2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중국 온라인 쇼핑업체 알리바바의 자회사 알리익스프레스(알리)는 국내 서비스를 2018년 11월에 시작했다. 당시는 해외 직구에 1주일가량 걸리면서 큰 이목을 끌지 못했다. 2022년 11월 국내에 고객센터를 세우고, 지난해 3월 1000억원 투자에 5일 이내 배송을 발표할 때까지도 수많은 유통업체 중 하나였다.

코로나 이후에도 중국 내수가 전처럼 회복되지 않자 알리바바는 물론 공동구매 온라인 플랫폼 핀둬둬는 전략을 바꿨다. 해외로 눈을 돌렸다. 핀둬둬는 2022년 9월 쇼핑앱 테무를 출시, 40개 넘는 국가에 진출했다. 알리바바와 핀둬둬는 나스닥 상장사로 시가총액이 각각 1750억 달러(약 230조원)를 넘는다. 모회사를 등에 업고 엄청난 광고 물량과 할인 혜택으로 무장한 알리와 테무는 시장을 빠르게 장악하고 있다. 국내 앱·리테일 분석 서비스인 와이즈앱·리테일·굿즈에 따르면 알리는 올 1월 사용자가 717만명이다. 1년 전의 두 배로, 전체 3위다. 지난해 6월 한국에 진출한 테무는 570만명으로 5위다.

이들은 ‘전 세계의 공장’인 중국 생산자와 한국 소비자를 직접 연결한다. 그동안은 다른 유통업체들이 중국 공산품을 한국에 들여와 이윤을 붙여서 팔았는데 이런 중간 과정이 생략되자 가격 파괴가 가능해졌다. 물론 중간 유통업체들은 수익원을 잃었다. 유통업체의 게임체인저다.

이런 현상은 우리만의 문제가 아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지난해 10월 일대일로 국제협력 정상포럼에서 ‘실크로드 전자상거래 협력’을 주요 과제로 언급했다. 중국 상무부의 올해 핵심 과제는 전자상거래 실크로드 협력 확대다. 디지털경제의 핵심 공간인 전자상거래는 오프라인 생산·유통에 큰 영향을 미친다. 미중 패권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사이버보안과 개인정보보호, 소비자 안전 등에서 세계적 협력이 필요한 상황이 됐다.

우리만의 해결책은 물류 혁신과 고품질 제품 생산이다. 정부가 늘 강조했던 정책이다. 목표 달성이 쉽지 않다는 의미다. 생산지 가격은 폭락했다는데 소비자 가격이 요지부동이라면 유통 과정 어딘가에 문제가 있다는 뜻이다. 국내에서만 생산 가능한 고품질 제품이라면 도리어 중국 앱이 좋은 판매사원이 될 거다.
전경하 논설위원
2024-02-16 27면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