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세상] 우리의 새로운 가능성 ‘마음나누기’/부경희 광운대 미디어영상학 교수

[열린세상] 우리의 새로운 가능성 ‘마음나누기’/부경희 광운대 미디어영상학 교수

입력 2010-03-04 00:00
업데이트 2010-03-04 01: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난주 김연아의 피겨스케이팅 결승전을 보는 4분여 동안 가슴이 터질 것 같았습니다. 인터뷰에서 정작 그녀는 크게 긴장하지는 않았다고 말했지만, 경기 직후 그녀가 흘렸던 눈물의 무게가 느껴져 마음이 아렸습니다. 그런데 이러한 마음 상태는 참 신기로운 마음을 낳더군요. 라이벌의 엄청난 점수가 나온 뒤 바로 이어 경기를 했던, 19세 어린 소녀 아사다 마오의 긴장과 불안까지도 온몸으로 안쓰럽게 느낄 수 있었습니다. 감정이입이 극도에 다다르면서 국적이나 이념을 떠나 그 어떤 선수의 마음도, 그 가족들의 마음도 그대로 다 느낄 수 있었습니다.

이미지 확대
부경희 광운대 미디어영상학 교수
부경희 광운대 미디어영상학 교수
참 오랜만에 느껴보는 집단 감정이입이었습니다. 2002년 월드컵 때 느꼈던 강도에 버금가는 것이었습니다. 일부 이런 집단심리가 우리를 우매하게 만든다는 이야기도 있지만, 전 심리학자로서 또 다른 이론을 믿습니다. 그리고 또 다른 희망이 샘솟습니다. 다른 사람의 마음을 자기 마음인 것처럼 느끼는 것, 소위 ‘감정이입(empathy)’은 이기적으로 태어난 인간이 마음을 나눌 수 있는 최고의 상태입니다. 머리가 아닌 가슴을 나눌 때, 우린 비로소 상대의 이야기를 듣기 때문입니다. 사회적 동물로서의 최대 미션인 상호성(reciprocity)을 극대화시키기 때문입니다. 또 다른 사람의 일을 자기 일처럼 챙기기 때문입니다. 그래서일까요? 이 감정이입 수준은 오래 전부터 선진국을 가늠하는 척도의 하나입니다.

처음 감정이입 척도를 접했을 때는 참 의아했습니다. 도대체 다른 사람을 이해하는 개인성향이 국가수준과 무슨 관계가 있을까 했지요. 그런데 광고효과측정 척도를 만들던 중에 아하 하는 깨달음이 있었습니다. 소비자들의 광고에 대한 주관적 응답을 분석해 보니, 특정 광고나 브랜드 선호도는 ‘신선해서’, ‘창의적이어서’, ‘좋은 정보라서’ 등의 응답보다는 ‘거기 갔던 때가 생각난다.’, ‘나도 저런 시절이 있었는데’, ‘그 마음이 느껴진다.’ 등의 감정이입적 응답자들에게서 가장 크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다시 말하면 제품이나 서비스가 어때서 보다는 소비자가 그 상황을 가슴으로 느낄 때 가장 효과적이었습니다.

감정이입은 귀를 기울이게 하는 힘이 있음을 직접 깨달을 수 있었습니다. ‘인간은 절대 커뮤니케이션을 하지 않는다. 그냥 순서대로 자기 욕심을 이야기할 뿐’이라는 어떤 유명한 학자의 말처럼, 마음을 열고 다른 사람의 이야기를 듣는 건 쉽지 않습니다. 그런데 감정이입이 바로 그것을 가능하게 한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런 이타적, 친사회적 행동들이 선진 사회를 향한 발전을 가속화하겠지요.

사실 그동안 우리는 감정이입 점수에서 거의 바닥을 면치 못했습니다. 누가 뒤이어 오건 말건 문을 확 닫고 들어가 버린다든지, 화급을 다투는 앰뷸런스가 지나가도 무심하게 달린다든지, 우리 아이만 성공하면 된다는 행동들 등 정말 많은 측정항목들에서 우린 아주 낮은 점수를 받습니다. 경제규모에 비해 바닥에 있는 나라는 중국과 한국 두 나라 정도입니다. 그런데 전 그 점수가 의아합니다. 어려운 일마다 한마음으로 돕고 뭉치기 잘하는 우리 국민에게 맞지 않는 점수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그건 단지 훈련의 차이 아닌가 생각되는군요. 이번 동계올림픽에서 온 국민이 함께 선수들과 감정이입을 한 이 경험은 그런 의미에서 우리를 또 한 차례 잘 훈련시켰던 것 같습니다.

이제 우리는 스포츠를 보면서 단순히 승패나 국적에 제한되지 않고 스포츠정신 그 자체를 함께 느끼는 쪽으로 한 발짝 더 나아가지 않았나 싶습니다. 2010, 2014 두 번의 동계올림픽 유치 경쟁 프레젠테이션에서 제가 IOC 위원들에게 했던 말이 생각납니다. 우리 국민은 열정적 신명 끼를 가지고 있다고. 그 끼를 믿고 맡겨 보라고. 그러나 2018 유치에서는 단순한 열정이 아닌 따뜻한 ‘정(情)’을 강조하고 싶습니다. 국적을 불문하고 모든 선수의 노력과 아픔을 격려하고 승리를 축하할 마음의 준비가 가장 많이 된 우리 국민이라고 말입니다. ‘감정이입’, 이를 통해 서로의 마음을 느껴주는 사회로 가고 있으며, 그것이야말로 서구 중심의 동계 올림픽을 아시아로 옮겨야 하는 올림픽 정신이라고 말입니다.
2010-03-04 3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