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세상]너무 빨리 소진되는 아이들/방은령 한서대 아동청소년복지학과 교수

[열린세상]너무 빨리 소진되는 아이들/방은령 한서대 아동청소년복지학과 교수

입력 2010-04-29 00:00
업데이트 2010-04-29 01:0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주변에서 소진(burn out)된 사람들을 만날 때가 있다. 대부분 평소 유능했던 사람들이다. 쉴 새 없이 일하고 업무를 수행하다 기력이 다 빠진 것이다. 소진된 사람들은 대개 무기력해지고 업무에 대해서도 강한 저항을 나타낸다.

이미지 확대
방은령 한서대 아동청소년복지학 교수
방은령 한서대 아동청소년복지학 교수
나 또한 그런 적이 있다. 한번은 박사 과정을 수료한 후 나타났는데, 어느 날부터 내가 하고 있는 일들에 대해 전혀 의미를 찾을 수 없었다. 당시 난 지리적으로나 경제적으로 공부하는 게 벅찼고, 어린 아기를 안고 먼 거리를 오가며 헤매는 내 자신이 너무 처량하게 느껴졌다. 한 번도 쉬지 않고 열정을 바쳤던 일들이 다 쓸데없고, 무엇보다도 이것이 나 자신과 내 가족에게 어떤 행복을 가져다 줄지 확신할 수가 없었다.

지도교수님께 “그만두겠다.”고 말씀드렸다. 내 얘기를 들으신 선생님께서는 순순히 그렇게 하라고 하셨다. 야단 맞을 것을 각오하고 갔던 난 의외의 선생님 반응에 순간 당황했지만 곧 날아갈 듯 마음이 가벼워져, 그 후 정말 푹 쉬었다. 우리 아이들과 내가 꿈 같은 시간을 보냈던 날들이다.

2년쯤 지났을까. 민망했지만 지도교수님께 다시 말씀드렸다. 학위 논문을 쓰겠다고. 이번에도 선생님은 의외의 반응을 보이셨다. “생각보다 일찍 왔구나.” 선생님은 내가 다시 추스르고 돌아올 것을 이미 알고 계셨던 것이다. 만일 그 때 내게 휴식의 시간이 주어지지 않았다면 지금 난 다른 삶을 살고 있을지도 모른다.

누구나 일상에서 스트레스를 받을 것이다. 적절한 스트레스는 삶에 활력을 주고 정신적으로도 매우 유익하다. 그러나 스트레스가 계속 누적되어 감당하기 힘들게 되면 심리적으로 고통을 느끼게 된다. 휴식을 통해 적절히 이완시켜 주지 않으면 심각한 상태에 이를 수도 있다.

걱정이 되는 것은 우리 아이들이다. 어릴 때부터 너무나도 바삐 사는 아이들이 정말 걱정될 때가 많다. 하루 종일 학교와 학원을 오가며 집에 오면 숙제하기 바쁘고, 주말이나 방학 땐 학습 스케줄이 더 빡빡해진다. 어떤 아이들은 방학이 싫다고 한다. 가슴 아픈 이야기가 아닐 수 없다.

고등학교에 진학한 후, 책을 손에서 놓은 학생들을 많이 보았다. 그렇게도 성실하고 열심히 공부하던 아이가 정작 본격적으로 공부해야 할 시기에 녹다운이 되어 공부하곤 담을 쌓는 것이다. 이들 부모는 애간장이 타 자녀들과 매일 전쟁을 치른다. 그러나 부모가 이렇게 난리를 친다고 해서 아이들이 다시 자세를 가다듬고 공부하게 되는 예는 거의 없다. 소진이 되면 그렇다. 공부할 기력도, 애정도 다 없어진다. 공부에 대해 심한 저항을 나타내는 건 너무나도 당연하다. 이때는 잠시 멈추고 숨을 쉬어야 한다. 다시 기력이 살아나도록 에너지를 재충전해야 한다.

교육방송 프로그램 중 공부의 왕도라는 것을 흥미롭게 보고 있다. 매회 다른 성공사례들이 나오는데, 공통적인 것은 이들이 사교육을 거의 받지 않고, 스스로 계획을 세워 공부하며, 교과서와 학교공부에 충실했다는 것이다. 어떤 이들은 설마 그럴까 믿지 않는 모양인데, 난 그렇지 않다. 100% 사실이라고 믿는다. 그들에게서 넘치는 에너지를 느끼기 때문이다. 초·중·고를 거치면서 그들은 소진되지 않았던 것이다.

학부모들은 대개 어떻게 하면 자녀가 공부를 잘할 수 있을지 궁금해한다. 그러나 어떻게 하면 자녀가 휴식을 취하고 건강하게 놀 수 있을지 고민하는 부모는 드문 것 같다. 학년이 올라갈수록 자녀 스스로 공부에 대한 의미를 찾고 점점 더 열심히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모습일 것이다. 무엇보다도 에너지가 많이 축적되어 있어야 가능한 일들이다.

공부가 인생의 전부는 아니지만 공부를 해야 할 시기에 열심히 공부하는 것도 매우 중요한 일이다. 정작 공부에 매진해야 할 시기에 소진되어 책을 손에서 놓게 된다면 얼마나 안타까운 일인가.

많은 아이들이 너무 일찍 소진되고 있다. 어릴 때에는 에너지를 쓰기보다 에너지를 축적하는 일이 더 중요하다. 자녀의 인생을 길게 보는 어른들의 지혜가 요구된다.
2010-04-29 3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