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세상] 1분과 원 샷!/김다은 추계예술대 문예창작과 교수

[열린세상] 1분과 원 샷!/김다은 추계예술대 문예창작과 교수

입력 2012-02-29 00:00
수정 2012-02-29 00:2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김다은 소설가·추계예술대 교수
김다은 소설가·추계예술대 교수
방금 눈앞에서 무슨 일이 일어난 것일까? 전 세계에서 온 관광객들은 어리둥절해서 자리를 금방 뜨지 못했다. 체코 프라하의 천문 시계탑이 정신없이 쇼를 펼친 뒤였다. 14세기 고딕양식의 구시청사에 30m 높이로 세워진 시계탑은, 매시 정각에, 해골 인형이 모래시계를 들고 줄을 잡아당기면 갖가지 인형들이 움직이기 시작한다. 종소리와 함께 꼭대기 창가에서 그리스도 12제자가 차례로 나타난 뒤, 마지막에 베드로의 닭이 나와 울고 사라진다. 관광객들은 고개를 치켜든 채 시계 작동의 동선을 따라가느라고 정신없이 빠져든다(소매치기가 가장 기승을 부릴 때다). 진풍경은 단 1분간 진행된다.

몇십분간 기다린 뒤 눈 깜짝할 사이에 벌어진 쇼라 조금 허탈해진 관광객들은 시계탑에 얽힌 전설을 듣고서 감동한다. 시계탑은 1410년 프라하 대학의 수학교수 하누슈에 의해 제작되었는데, 그 아름다움에 유럽 각국이 저마다 탐을 냈다. 하누슈 교수에게 다른 나라로부터 주문 의뢰가 들어오자 프라하 시는 천문 시계탑을 세계 유일한 것으로 만들기 위해 그를 장님으로 만들었다고 한다. 그는 죽기 전에 시계탑을 한번만 만져보게 해달라고 간청했고, 마침내 시계탑에 올라가 손으로 시계를 천천히 만졌다. 그런데 이때부터 400년 동안이나 시계가 작동하지 않았다고 한다(하누슈 교수가 시계를 만지면서 중요 부품을 뽑아 버렸을 것이라는 추측도 있다). 그 시계가 다시 움직이기 시작한 것은 1860년부터였다.

독일의 로텐부르크의 마르코트 광장에도 역사적인 전설이 담긴 시계탑이 있다. 신교도와 구교도 간의 충돌로 일어난 ‘30년 전쟁’ 당시, 구교도를 이끄는 틸리 장군이 로텐부르크에 도착했다. 틸리 장군은 3.25ℓ짜리 술잔에 담긴 포도주를 원샷하면 사람들을 살려주는 것은 물론 도시도 파괴하지 않겠다고 제안한다. 로텐부르크 시장은 그 어마어마한 양의 술을 목숨을 걸고 단숨에 마신다. 결국 틸리 장군은 약속을 지켰고, 중세의 보석이라고 불리는 로텐부르크는 그대로 남게 되었다. 마르코트 광장의 벽시계는 그 사건을 기억하며 지금도 매시간, 틸리 장군과 로텐부르크 시장 인형이 벽시계에서 나와 원샷하는 퍼포먼스를 보여준다.

체코 프라하의 천문 시계탑과 독일 로텐부르크의 원샷 시계탑에는 공통점이 있다. 시 청사 혹은 시 광장에 있고, 시계탑에서 인형들이 나와 퍼포먼스로 관광객들을 사로잡는다는 점이다. 역사적인 사건이나 전설을 스토리텔링화한 것으로, 그 나라의 문화적 정체성과 국민성을 각국의 관광객들에게 잘 전달하고 있다. 단 1분 그리고 원샷이라는 짧은 순간이지만, 그 나라의 긴 역사와 축적된 문화의 원형을 보여주고 있는 셈이다.

이 두 벽시계를 보고, 우리나라도 서울시청 광장에 자격루를 세우면 어떨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스스로 치는 물시계’라는 뜻의 자격루는 조선 세종 16년(1434년) 과학자 장영실에 의해 만들어졌다. 물의 양을 조절해 인형들이 자시 등 12지시를 알려주는 종, 북, 징을 치게 되어 있다. 시간을 알리는 종이 울리는 순간, 쥐·소·호랑이 등이 작은 구멍에서 뛰어오른다. 자격루는 현재 복원되어 국립고궁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이 자격루를 보다 크게 제작하고 청각적인 효과도 살려 시청광장 등에 설치하고, 그 재미있고 아름다운 작동을 사람들에게 보여주면 근사하지 않을까.

자격루의 스토리텔링은 천문 시계탑이나 원샷 시계탑보다 단연코 한 수 위다. 글을 읽지 못하는 백성을 위해 훈민정음이라는 아름다운 문자를 창조한 조선시대의 위대한 왕이 천민 장영실의 능력을 신뢰하여 요즘 디지털시계처럼 시보를 가진 물시계를 만든 것이다. 시계에 더하여 백성을 사랑했던 왕의 마음과 자격루에 응용된 과학적인 원리를 설명하면 더할 나위 없이 좋을 것이다. 우리 역사와 문화의 정체성을 확인할 뿐만 아니라 외국인 관광객들에게도 상당한 볼거리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문화재가 단순히 과거나 전시용에 머물지 않고 현재의 삶 속으로 걸어 나와 역사의 시간과 향기를 깨우쳐 주었으면 하는 바람에, 감히 서울시가 문화 사업으로 기획해 주었으면 하는 바람을 전해 본다.

2012-02-29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