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세상] 협동의 기적/이정옥 대구가톨릭대 사회학과 교수

[열린세상] 협동의 기적/이정옥 대구가톨릭대 사회학과 교수

입력 2014-04-10 00:00
업데이트 2014-04-10 03: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정옥 대구가톨릭대 사회학과 교수
이정옥 대구가톨릭대 사회학과 교수
때 이른 꽃들이 흐드러지게 핀 봄맞이 겸해서 구례행을 자처했다. 전국에서 3000명이나 온다는 협동의 일꾼들의 면면을 보기 위함이었다. 그들의 모습을 확인하면 2001년부터 세계사회포럼에서 주장해 온 ‘또 다른 세계가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20여만명의 소비자 조합원이 3000여명의 생산자와 힘을 모아 정부지원 없이 구례에 생산 공방파크를 만들었다.

이들이 처음에 꾼 꿈은 매우 단순했다. 아이들에게 안전한 먹거리를 주고 싶다는 것, 식탁의 안전을 보장받으려면 좋은 먹거리를 생산하는 생산자의 얼굴도 보아야 한다는 것이었다. 안전한 식품에 대한 소망은 크지만 안전한 식품을 생산하는 토대는 허물어지고 있다는 현실에 같이 책임을 지겠다는 각오를 한 점이 다른 소비자와는 다른 것이다. 생산 참여형 소비자운동, 윤리적 소비자운동이 한국에 뿌리를 내리게 된 것이다.

윤리적 소비자 운동은 세계화의 흐름이 가속화됐던 1980년대와 1990년대에 유럽에서 일어났던 새로운 사회운동이었다. 방글라데시의 생산 공장에서 여공들이 기숙사에 감금돼 불에 타 죽은 사건을 접한 유럽의 여대생들이 ‘피 묻은 옷을 입지 말자’, ‘ 피 묻은 장난감을 아이들에게 선물하지 말자’라는 캠페인을 벌여 소비자가 생산과정까지 책임지고 소비하자는 윤리적 소비자운동을 펼치게 됐다. 세계화에 대한 유럽 소비자의 대응이었다.

이들의 주장은 오늘날 유엔까지 이르러 생산자 즉 기업들이 윤리지침에 서약을 하도록 하게 했고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제도화하기에 이르렀다. 1990년대에 유럽이 거둔 성과를 필자가 1990년대에 한국에 소개할 때만 해도 소비자운동은 더 싼값에 더 질 좋은 물건을 사는 것으로 인식돼 있었다. 소비자가 사회적 책임감을 위해 회비도 내고 교육도 받고 물건도 더 비싸게 사야 한다는 것을 받아들이기 어려웠다. 이제는 윤리적 책임을 기꺼이 감당하는 소비자가 전국에 20여만명이나 있다.

윤리적 소비자운동이 생산자까지를 배려하는 차원으로 놀랍게 발전하고 있다. 이번에 구례에 공방촌을 마련하게 된 것도 쾌적한 곳에서 생산자가 기쁜 마음으로 생산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다. 소비자도 생산 현장을 수시로 방문해 생산자와 소비자가 유기적으로 협동하는 토대를 만들어 놓은 것이다. 생산과 소비는 분리된 것이 아니라는 평범한 현실을 깨닫는 데 시간이 많이 걸렸다. 윤리적 소비자들의 모금으로만 300억원을 만들었고 그들이 주인 자격으로 공방촌을 방문한 것이다. 소비자 자신들도 놀란 협동의 기적이 이루어진 것이다. 먹거리에 대한 관심은 다른 공산품에도 이어진다. 기적을 만들어낸 참가 소비자들은 대부분 여성들이다. 여성이 참여하면 다르다. 여성은 더 깨끗하다. 여성은 생명을 존중한다. 여성은 또 다른 세상을 만들어 낼 수 있다고 주장하면서 여성의 정치 참여와 사회 참여를 강조해 왔다. 그런 ‘ 여성들’이 구례에 모였다. 그녀들의 표정은 섬진강 맑은 물가에 핀 흐드러진 벚꽃보다 더 힘차 보였다.

경쟁은 공정한 것 같지만 김연아의 소치 올림픽 결과에서 보듯 다분히 주관적 요소가 가미된다. 경쟁의 구도에서는 이긴 자와 진 자에 대한 처우가 확연히 달라지지만 정작 경쟁구도에서 적용하는 기준은 생각만큼 명확하지 않다. 학생들의 수업 평가를 하다 보면 경쟁의 선에 유독 학생들이 몰려 기준을 정하기가 쉽지 않다. 결과적으로 경쟁에 이긴 사람과 진 사람의 차이가 미미한 것이 보통이다. 경쟁은 결과만 중시한다. 클릭 한 번으로 한판 승부를 하는 투기는 경쟁의 괴물이다. 경쟁의 승자는 탐욕과 욕망을 불러일으키기 위해 번쩍거린다. 패자에게는 비참함을 안겨 준다.

협동은 모두가 승자이기 때문에 굳이 번쩍거리지 않아도 된다. 소박하지만 내적 기쁨이 충만하다. 우리는 너무 번쩍임에 목매 오지 않았는가. 구례에서의 협동의 기적이 더 큰 공명을 가져와 경쟁으로 앞만 보고 달려온 한국과 또 다른 한국의 모습도 있다는 것을 확인하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
2014-04-10 30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