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핼러윈 시즌 호러무비 극장가 연쇄개봉

미국 할리우드에서는 핼러윈(10월 31일) 시즌이 공포 영화 대목이지만, 국내에선 여름이다. 하지만 최근 들어 ‘공포 영화=여름’이라는 고정 관념이 무너지고 있다. 겨울로 가는 길목에서도 심심치 않게 공포 영화를 만나게 되는 것.

공포 영화가 대중적인 장르는 아니지만 어느 정도 마니아층이 형성된 상태라 비수기에 틈새 시장을 노리는 것이라는 분석이다. 난도질 위주의 볼거리 공포물이 많아진 때문이라는 지적도 있다. 예전에는 관객들의 마음을 조이게 하는 심리적인 공포물이 많아 여름과 궁합이 맞았으나, 잔혹함을 강조하는 공포물은 딱히 계절을 타지 않는다는 것이다. 핼러윈 시즌에 맞춰 개봉한 할리우드 공포물들이 곧바로 수입되는 것도 빼놓을 수 없는 요소다.

18일 개봉한 ‘렛 미 인’은 스웨덴 소설을 원작으로 한 할리우드 작품이다. 2008년 이미 스웨덴에서 영화로 만들어져 세계 공포 영화 마니아들의 주목을 받았다. 뱀파이어 소녀와 인간 소년의 교감을 그렸다. 학교에서 괴롭힘을 당하는 소년은 옆집에 이사온 소녀에게 왠지 모를 연민을 느끼지만 소녀가 이사오면서부터 마을에선 살인 사건이 거듭 일어난다. 소재로는 공포 영화에 해당하지만 내용은 슬픈 로맨스에 가깝다. 맷 리브스 감독의 연출은 물론, 할리우드의 샛별 클로이 모레츠와 코디 스밋 맥피의 연기가 인상적이다.

같은 날 개봉한 ‘쏘우 3D’는 쏘우 시리즈 일곱 번째 작품이다. 마지막 시리즈로도 공언된 상태다. 전편을 연출한 캐빈 그루터트 감독이 다시 메가폰을 잡아 어떻게 하면 더 잔인한 장면을 보여줄 수 있는지 몰두한다. 살인마 직소(토빈 벨)의 또 다른 후계자가 살인 게임을 주도한다. 3차원(3D) 영상이라 역대 최고인 2000만 달러(약 225억원)의 제작비를 들였다. 그래서 살 조각들이 눈 앞에서 춤을 춘다. 현재까지 전 세계적으로 7321만 달러를 벌어들였다.

북미 시장에서 핼러윈 데이를 맞아 개봉했고, 예상대로 개봉 첫 주 1위를 차지했다. 2004년 처음 등장한 ‘쏘우’는 120만 달러(약 14억원)의 초저예산을 들여 전 세계 흥행 수입 1억 달러(약 1140억원)라는 거액을 벌어들였다. 들어가는 돈은 더 많아지고 벌어들이는 돈은 줄어든 셈이다.

앞서 지난 4일 개봉한 ‘데블’도 있다. 엘리베이터라는 좁은 공간을 주 무대로 삼는 만큼 아이디어가 돋보인다. 처음부터 살인자는 초현실적인 존재인 악마라는 점을 관객들에게 공개한다. 5명 가운데 악마가 누구인지를 숨기는데 관객들이 궁금해야 할 대목은 악마의 정체가 아니라 이들이 왜 한자리에 모여 죽음을 당하는지에 있다. ‘데블’은 ‘식스 센스’로 이름 높은 M 나이트 샤말란 감독이 기획하고 제작하는 ‘나이트 크로니클’ 3부작 가운데 첫 번째 작품. 공포 영화 전문 제작사 ‘다크 캐슬 엔터테인먼트’를 만든 로버트 저메키스 감독의 행보가 연상된다.

지난달 22일 미국과 한국에서 동시 개봉한 ‘파라노말 액티비티2’는 지금까지 35만명 이상의 관객을 동원하며 쏠쏠한 성적을 거두고 있다.

다음 달 2일에는 미국 개봉 첫 날 1위에 올라 깜짝 선전한 ‘라스트 엑소시즘’이 국내 스크린에 걸린다. ‘파라노말 액티비티2’처럼 페이크 다큐멘터리로 과학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초자연적인 현상인 오컬트를 소재로 삼고 있다. 실제 같은 다큐멘터리 느낌이 공포를 보탠다. 대를 이어 퇴마사 노릇을 하던 목사가 엑소시즘의 실체를 알리기 위해 다큐멘터리 제작팀과 함께 악령이 씌웠다는 소녀를 찾아가며 벌어지는 일을 그리고 있다. 1973년 ‘엑소시스트’에 등장하는 소녀 캐릭터와 ‘라스트 엑소시즘’ 속 소녀 넬을 비교해 보면 재미있을 듯. 공포물 ‘호스텔’로 전미 박스오피스 1위를 밟았던 일라이 로스 감독이 제작을 맡았다.

홍지민기자 icarus@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